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세 일본의 사료에 나타난 울릉도·독도의 지리적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Geographical recognition of Ulleungdo and Dokdo in the modern Japanese historical materials: Focusing on 『Jukdogisa(竹嶋記事)』, 『Jukdogo(竹島考)』,『Wonrokgakseo(元祿覺書)』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자명
이태우(Taewoo Lee)
간행물 정보
『독도연구』제22호, 41~6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근세 일본의 사료에 나타난 울릉도·독도에 대한 지리적 인식을 중심으로 그들이 말하는 다케시마(울릉도)와 마쓰시마(독도, 우산도, 자산도)가 한국의 영유임을 재확인해보는 것이다. 일본이 17세기 고유영토설의 근거 사료로 삼고 있는 『죽도기사』의 곳곳에서 이미 울릉도와 우산도가 조선의 역사지리서에 기술되고 있음을 인정하고 있음을 볼 때, 일본은 이미 17세기 이전부터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이 영유하고 있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죽도고』에서도 역시 오야와무라카와 집안이 80년간 울릉도에서 불법적인 어로활동을 한 사실만을 가지고 자신들이 되찾아야 할 섬으로 주장하고 있는 것은 잘못된 인식으로 지적할 수 있다. 왜구의 노략질로 고통 받던 울릉도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섬을 비워둔 것을 사람이 살지 않는 폐도라고 하면서, 잠시 동안 그곳에서 어로활동 한 것을 핑계로 자신들이 되찾아야할 섬이라고 강변하고 있다. 이것은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의 ‘다케시마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10가지 포인트’ 중 <포인트 3>의 ‘17세기 고유영토확립설’ 주장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원록각서(元祿覺書)』에서 안용복 일행이 타고 온 배에 걸린 「조울양도감세장 신 안동지기(朝鬱兩島監稅將 臣 安同知騎)」라고 쓰여진 깃발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바로 안용복이 울릉도·독도가 조선의 영유임을 일본 측에 선포하는 강력한 의지가 담긴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의 울릉도와 우산도(자산도) 양도의 감세장을 칭하며 죽도(울릉도)의 조선영유를 당당히 확인하기 위해 도일한 것임을 가시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근세 울릉도·독도 관련 일본사료에 나타난 지리적 인식의 특징을 보면, 조선에서 울릉도·독도까지 거리를 실제보다 훨씬 더 가까운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원록각서』와 『죽도기사』에서 안용복의 진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죽도고』를 편찬한 오카지마는 오히려 조선에서 울릉도·독도까지의 거리가 더 가까운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울릉도·독도가 조선영토라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기에 공간적 거리보다 인식적 거리가 훨씬 가까웠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근세 일본의 사료에 대한 검토, 특히 ‘울릉도·독도의 지리적 인식’에 대한 검토는 일본 측의 ‘17세기 다케시마 고유영토설 주장’을 비판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ffirm that Takeshima(Ulleungdo) and Matsushima(Dokdo, Usando, Jasando), as which Japan refers to, belong to Korea, judging from their geographical recognition in modern Japanese historical materials. Japan had already recognized that Chosun had been possessing Ulleungdo and Dokdo before the 17th century, as Japan acknowledged the fact that Ulleungdo and Usando were already described in the historio-geographical materials of Chosun, in various parts of 『Jukdogisa(竹嶋記事)』 which is the basis of Japanese “Inherent Territory” Theory on Dokdo since 17th century. It is unreasonable to claim Dokdo, only based on one fact that Ojiya·Murakawa families had been illegally engaged in fishing in Takeshima for 80 years in 17th century. Japan is strongly claiming Dokdo back, misleading the fact that Chosun evacuated the inhabitants from Ulleungdo in order to protect them from Japanese pirates, left the island uninhabited. Japan argues that Dokdo was uninhabited and unowned, while Japanese engaged in fishing there. This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the point 3(“Inherent Territory” Theory on Dokdo since 17th century) in the “10 Points for Understanding the Takeshima Problem”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In 『Wonrokgakseo(元祿覺書)』, the phrase 「朝鬱兩島監稅將 臣 安同知騎」written on the flag of the ship, on board of which Yongbok An’s party was has an important meaning. It contains Yong-bok An’s strong will to declare to the Japanese authority that Ulleungdo and Dokdo belong to Chosun, because Yong-bok Ahn called himself an official who was responsible for collecting tax in Chosun’s Ulleungdo and Usando. It can be said, thereafter, that Yong-bok An’s visit to Japan is an manifest expression of the fact that Ulleungdo and Dokdo belong to Chosu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al recognition of Ulleungdo and Dokdo in the Japanese modern literature, It is obvious that the Japanese perceived the distance from Chosun to Ulleungdo and Dokdo as much closer than they actually were. This can be confirmed by Yong-bok An s statement in 『Jukdogisa(竹嶋記事)』, 『Wonrokgakseo(元祿覺書)』. Obviously, Okajima who compiled 『Jukdogo(竹島考)』 recognized that the distance from Chosun to Ulleungdo and Dokdo is closer than from Japan. The fact that the Japanese already knew that Ulleungdo and Dokdo belonged to Chosun, led them to think cognitively that the distance between Chosun and Ulleungdo·Dokdo was much closer than in reality. A careful review of Japanese modern historical materials, especially ‘Japanese geographical awareness of Ulleungdo·Dokdo’,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clues to convincingly refute Japan’s claim Dokdo on the ground of the “Inherent Territory” Theory on Takeshima since 17th century.

목차

1. 머리말
2. 『죽도기사』(竹島紀事)에 나타난 울릉도·독도의 지리적 인식
3. 『죽도고』(竹島考)에 나타난 울릉도·독도의 지리적 인식
4. 「원록각서(元祿覺書)」에 나타난 울릉도·독도의 지리적 인식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우(Taewoo Lee). (2017).근세 일본의 사료에 나타난 울릉도·독도의 지리적 인식. 독도연구, (22), 41-67

MLA

이태우(Taewoo Lee). "근세 일본의 사료에 나타난 울릉도·독도의 지리적 인식." 독도연구, .22(2017): 4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