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과학교사들의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탐색

이용수 18

영문명
Explor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 s Professional Identity Focusing Student Teaching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김희경(Kim, Heekyong) 이나래(Lee, Nalae)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0권 제2호, 171~20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과학교사인 사범대학 과학교육 전공 4학년 학생들의 직업적 정체성을교육실습 과정을 중심으로 탐색하고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5명의 예비 과학교사들에게 교육실습 직전과 직후에 ‘과거의 경험’, ‘현재의 나’, ‘미래의 나’에 관련된 직업적 정체성 관련 요소에 대해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교사와 교생에 대한 경험, 교수효능감, 자기 이미지, 타인에 대한 자기 이미지, 기대 역할, 지향하는수업과 교사상, 교사 희망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사전 사후 변화가 있는지, 변화가 있다면 계기가 된 상황을 설명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실습 전에 과학 예비교사들은 지도교사에게는 학생으로서, 학생들에게는 친근한 친구로서의 이미지를 예상하고 있었으며, 스스로는부족하지만 노력하는 예비교사로서 자기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아직 자신의 교육적역할이나 관련된 이미지에 대해서는 구체화된 모습을 보여주지 않아, 발달된 직업적 정체성을보여주지 못하였다. 또한, 지도교사에 대한 자기 이미지와 학생들에 대한 자기 이미지가 상반되거나 일치하지 않은 모습을 보여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생으로서의 정체성이 다중적임을 알수 있었다. 둘째, 교육실습 과정은 예비교사들이 수업전문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알도록 하며, 지향하는 교사상을 구체화시키고,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통해 교사가 되고 싶은 동기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어, 예비교사들의 직업적 정체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교육실습에서 교수실행에 대한 체계적인 반성과개선, 그리고 역할 모델이 되어 직업에 대한 동기를 증진시켜야 할 위치에 있는 지도교사나 교수의 역할이 미비하며 보완이 요청되었다. 이 밖에도 본 연구결과가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결과와 함께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focusing their student teaching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For this, thesurvey about ‘my experience about teaching’, ‘my image of present as a pre-service teacher’,and ‘my orientation’ were applied to 25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t pre and after studentteaching, and depths interview was followed. The survey asked about the experiences aboutteacher and student teacher, self-efficacy, self image, student teachers’ image which mentorteacher and students would have, student teachers’ roles which mentor teacher/studentswould expect, teaching what student teachers’ want to do, and the teacher image what theywant to be. Firstly, the results showed that before the student teaching, pre-service scienceteachers did not show developed professional identity because they had self image as astudent for mentor teacher, self image as friends for students and they didn’t have concretepedagogical role and image. Also, it showed multiplicity of pre-service teacher’s identitybecause of the inconsistency or conflict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image to mentorteacher and image to students. Secondly, student teaching help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to developed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because it helped pre-service teacher to recognizedthe importance of teaching profession and what they needed to improve, to articulate teacherimage what they wanted to be, and to motivate to be a teacher. However, the role of mentorteacher and professor to help student teachers to reflect their teaching and find the method toimprove the teaching was needed to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for teacher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내용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경(Kim, Heekyong),이나래(Lee, Nalae). (2014).예비과학교사들의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탐색. 교원교육, 30 (2), 171-201

MLA

김희경(Kim, Heekyong),이나래(Lee, Nalae). "예비과학교사들의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탐색." 교원교육, 30.2(2014): 171-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