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불교 전적에 나타난 염불선의 계승과 발전

이용수 97

영문명
The Lineage and Development of Yeombulseon in the Korean Buddhist Scriptures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김성순(Kim, Sung-Soon)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59輯, 219~25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한국불교사에서 선정불이의 염불선 수행법을 제시했던 사상가 중에 원효, 나옹, 청허 휴정, 무주 청화의 교설과 그 상호간의 차이에 대해서도 확인해보기로 한다. 원효의 정념관불(正念觀佛)은 아미타불을 념하고, 그 법신을 관하는 것이 정토왕생의 인(因)이 되는 동시에 지혜를 얻는 관법수행이라고 할 수 있다. ‘무념염불’(無念念佛)로 대표되는 나옹의 염불관은 아미타불에 대한 억념, 즉 오로지 한 마음으로 기억하고 생각하는 것을 한 시도 멈추지 않고 지속하면 어느날 하루 아침에 깨닫게 된다는 것이 요체이다. 『선가귀감(禪家龜鑑)』을 토대로 청허휴정의 염불선사상을 살펴보면, 선과 염불을 조화시켜 선정쌍수(禪淨雙修) 및 선정일치(禪淨一致)를 지향하는 염불선(念佛禪)의 체계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청허는 선 수행자이면서도 다른 수행법에 대해서도 긍정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었으며, 다양한 수준의 근기를 수용하고 배려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근현대에 이르러, 금타(金陀)의 교법을 주석한 『금강심론』에서는 관적(觀的)인 일상삼매(一相三昧)와 염적(念的)인 일행삼매(一行三昧)를 제시하면서 지혜를 열어 觀하고, 오랜 습기(習氣)를 녹일 수 있도록 염념(念念)히 이어가는 삼매행을 제시하고 있다. 무주청화는 그의 은사인 금타의 가르침에 의거하여, 선과 염불의 전통을 하나로 회통시킨 실상염불선을 제시한다. 수행법과 신앙 간의 평등‧불이의 교의를 구축한 청화의 수행관에서는 염불과 화두선, 주문수행 간의 개념적 차이도 원융적 구조로 포섭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essay attempt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ings of thinkers who established the practice of yeombulson (meditation on Buddha-invocation)) based on the tradition of seonjeongburi, which holds that yeombul (Buddhist chanting) and Seon(禪) are undifferentiated. These thinkers are Wonhyo, Naong, Hyujeong, and Muju Cheonghwa. Wonhyo’s practice of jeongnyeomgwanbul (正念觀佛; Meditate on Buddha with the Right Mind) contemplates meaning of the Amitabha Buddha, and in this practice, the insight of the Dharma-body is both the foundation of the Pure Land as well as the method of contemplation through which wisdom is received. Naong’s concept of Buddha chanting, which is typified by munyeomyeombul (Buddhist chanting free of distraction), does not stop at an effort to achieve the holding of Amitabha Buddha in one’s memory and thinking, but also asserts that if one continues this practice, one will one day arrive at a fuller understanding. If one analyses Hyujeong’s understanding of Buddhist chanting using the text Seongagwigam (禪家龜鑑), it can be seen that Hyujeong was able to devise a system of chanting meditation that pursues Seonjeongssangsu (禪淨雙修; practice both Seon with Buddha Invocation)) and Seonjeongilchi (禪淨一致; Practical agreement between Seon and Buddha Invocation) through the harmonization of Seon and Buddhist chanting. While being a practitioner of Seon, Hyujeong he also had an affirming attitude towards other modes of practice, and accepted a variety of modes of patience. Entering the modern period, the text Geumgangsimnon, which clarifies the doctrinal teaching of Geumta (金陀), presents the contemplative practice of Ilsangsammae (一相三昧) and the recollecting practice of Ilhaengsammae (一行三昧), while also contemplating wisdom and presenting the practice of samadiha, which brings about awareness of the knowledge of past lives (vasana). With a foundation in the teachings of his instructor Geumta, Muju Cheonghwa produced Silsangyeombulseon (The True Nature Chanting Meditation), which seeks to harmonize the diverse opinion of the tradition of Seon and Buddhist chanting. In Muju Cheonghwa’s explanation of practice, which teaches of the equality and non-duality of practice and belief, he embraces the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Buddhist chanting, word contemplation mediation, and verbal incantation as an undifferentiated structure.

목차

Ⅰ. 서론
Ⅱ. 한국불교에서의 염불선의 연원과 그 발전 과정
Ⅲ. 원효의 정토사상에서 나타나는 염불선의 단초
Ⅳ. 나옹혜근(懶翁慧勤)의 무념염불(無念念佛)
Ⅴ. 청허휴정(淸虛休靜)의 선정일여(禪淨一如)
Ⅵ. 무주청화(無住淸華)의 실상염불(實相念佛)
Ⅶ.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순(Kim, Sung-Soon). (2021).한국불교 전적에 나타난 염불선의 계승과 발전. 보조사상, 59 , 219-253

MLA

김성순(Kim, Sung-Soon). "한국불교 전적에 나타난 염불선의 계승과 발전." 보조사상, 59.(2021): 219-2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