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금강유역 저습지퇴적층의 층서고찰

이용수 54

영문명
Stratigrahy of Wetland Depositional Sequence in Keum River Basin, Korean Focused on Gungnamji, Sorori and Naeheungdong Areas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김주용(Kim, Ju-yong) 양동윤(Yang, Dong-yoon) 봉필윤(Bong, Pil-yun) 박순발(Park, Sun-pal) 이융조(Lee, Yung-jo)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13집, 5~54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0.30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충남 금강 유역은 노령산맥과 차령산맥 사이에 수계가 분포하며, 북동에서 남서방향으로 분포하는 기반암은 주로 화성암류(Igneous rocks), 퇴적암류(Sedimentary rocks), 옥천층군변성암류(Ogcheon Metamorphic rocks), 선캠브리아변성암류(Pre cambrian metamorphic rocks)로 구성되어 있다. 제4기 충적퇴적층(alluvial deposits)은 금강 하류는 해안평야퇴적층과 범람원퇴적층이 우세하며, 금강의 중류에서는 범람원퇴적층과 하도하천퇴1)적층이 우세하게 분포한다. 금강의 저습지퇴적층은 금강 하류의 해안저습지와 중류의 배후습지로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금강의 부여 궁남지, 청원 소로리, 군산 내흥동 유적발굴지점에 발달하는 저습지퇴적을 대상으로 층위분포와 산상을 규명하여 저습지퇴적층의 형성환경과 형성시기를 해석하는데 있다. 궁남지의 저습지퇴적층은 홀로세 중기의 조간대성 청회색니층(bluish grey mud: SqI), 2,000 2.300년전의 유기질 혹은 토탄질 니층(organic or peaty clay, SqII), 1,300 1,400년전 백제시대 문화층(anthropogenic layer, SqIII), 그리고 간헐적 홍수범람층(flooding mud, SqIV)이 분포한다. 소로리 저습지퇴적층은 최종빙기퇴적층준(last glacial sequence)은 약 3.6만년 이전에 형성된 고기하성퇴적층준(old fluvial sequence)내의 고기 토탄질점토층(old peaty clays)과 약 1.7만년 1.1만년전의 신기하성퇴적층(young fluvial sequence)내의 신기토탄질점토층(young peaty clays)이 분포하며, 후자는 다시 하부, 중부, 상부 토탄 점토층으로 세분된다. 끝으로 내흥동은 최종빙기 동안 기반암 풍화대 상부를 따라 침식성 구릉지가 발달하였으며, 특히 해안곡지 및 해안평야가 접하는 위치에는 저습지퇴적층이 분포하고 있다. 내흥동은 지형상 고도 약 3m 6m 사이에 저습지퇴적층이 분포한다. 이들 저습지퇴적층은 사면퇴적과정과 후속도는 토양화작용으로 형성되었으며, 제3지구 4트랜치에서는 하부로부터 담회색 내지 담녹회색 사질층(L1 5층), 니사질층(L1 4층), 철망간반점이 산재하는 세립사질층(L1 3층), 암회색내지 회갈색 니사질층(L1 2층), 황갈색 니질층(L1 1층)이 분포한다. 이들 지층내에 유기질 혹은 토탄질 니사질층 수매 협재한다. 내흥동에서는 적어도 약 4.8만년 이전부터 저습지퇴적층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약 1,900년전까지 단속적으로 지속되었다. 내흥동에서 약 6,000년전 이후 하부 사질퇴적층은 Alnus Quercus Pinus 우점하며, 상부 니질퇴적층은 Pinus 우점한다. 결론적으로 금강의 최종빙기 저습지의 층위 형성환경과 형성시기는 자연환경의 이해와 고인류의 생태적 연계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Keum River of the Chungnam Province is located between Noryeon mountain and Charyeong mountain ranges. The basement rocks, majorly trending from NE to WS, are composed of igneous rocks, sedimentary rocks, Ogcheon metamorphic rocks and Pre cambrian metamorphic rocks. Quaternary alluvial deposits are derived from coastal plain to flooding deposit in the lower reach of Keum River, and flooding to channel stream deposits in the middle reach of Keum River. Wetlands of Keum River is distributed at marsh in coastal plain and backswamp in floodplain. This study is focused on illuminating wetland deposional environments and formation ages of Gungnamji in Puyeo county, Sorori in Cheonwon county and Naeheungdong in Gunsan city in Keum River Basin. Firstly Gungnamji wetland is characterized by middle Holocene bluish grey mud(SqI), organic or peaty clay(SqII, ca 2,000 2.300yrB.P), anthropogenic layer of Paekje old dynasty(SqIII, ca 1,300 1,400yrB.P) and intermittent flooding muds( SqIV). Secondly Sorori wetland is typified by old peaty clays (older than 36,000 yrB.P) in the old fluvial sequence of early last glacial, and young peaty clays (ca 17,000 11,000yrB.P) in the young fluvial sequence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LGM). The latter peaty clays are classified into lower, middle and upper layers. Lastly Naeheungdong wetland is distributed between coastal valley and coastal plain, where a hillslope erosion was pronounced along weathered basement during the glacial period. Wetlands in Naeheungdong occur at an altitude between 3m and 6m. Based on a representative trench profile(3Tr4), wetland deposits, originated by slope process and later pedogenesis, show light gray sands(L1 5), muddy sands(L1 4), fine sands with mottlings of Fe Mn hydroxides(L1 3), dark gray to brownish gray muddy sands(L1 2), yellowish brown muds(L1 1) in the ascending order. Organic mud layers or peaty mud layers are intercalated among the above mentioned slope sediments and paleosols. The wetland deposits was initially formed at least about 48,000yrB.P, and intermittently continued up to 1,900yrB.P. Palynological production indicates that lower sand layers produce predominantly the Alnus Quercus Pinus floral association after 6,000yrB.P, while the upper muddy sands typically chracterize with Pinus. In conclusion last glacial wetland deposional environment and formation age in the Keum River provides a clue to understand both a natural environment and ecological context of old human.

목차

Ⅰ. 서론
Ⅱ. 금강 유역의 제4기 충적퇴적층
Ⅲ. 금강유역 선사유적 발굴지의 저습지퇴적층 산상
Ⅳ. 저습지퇴적층 형성환경과 시기 고찰
Ⅴ.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용(Kim, Ju-yong),양동윤(Yang, Dong-yoon),봉필윤(Bong, Pil-yun),박순발(Park, Sun-pal),이융조(Lee, Yung-jo). (2005).금강유역 저습지퇴적층의 층서고찰. 호서고고학, 13 , 5-54

MLA

김주용(Kim, Ju-yong),양동윤(Yang, Dong-yoon),봉필윤(Bong, Pil-yun),박순발(Park, Sun-pal),이융조(Lee, Yung-jo). "금강유역 저습지퇴적층의 층서고찰." 호서고고학, 13.(2005): 5-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