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原三國~百濟漢城期大田地域聚落의 變化樣相

이용수 38

영문명
The Aspect of Transition of Settlement Pattern in the Daejeon Region from Proto-Three Kingdoms to Baekje Hanseong Period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金多熙(Kim, Dahee)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38집, 4~35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0.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취락자료의 증가는 소지역권에 대한 세밀한 분석과 해석연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대전지역 원삼국~백제 한성기 취락유적을 시·공간적으로 배열 한 후 주거지간의 선후관계와 거리·공지의 공유 등을 함께 살펴보아 유구·유적의 동시성을 파악했다. 그리고 취락의 규모와 위계를 분석하고 입지·주거·저장·생산·분묘·출토유물의 변천 양상을 다각도로 검토했다. 이를 통해 마한에서 백제 한성기에 걸쳐 확인되는 재지계 취락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밝히고, 백제의 영역 확장에 따른 취락의 변화양상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 대전지역에서는 3~4세기 대에 재지계에 의한 취락의 형성과 발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로 대전서부지역의 반석천·진잠천 인근을 중심으로 취락이 발달하며, 대형-최상위중심지취락인용계동유적과 주변의 중심취락과 일반취락이 주거·저장·생산·출토유물 양상을 공유하고 있었다. 이들은 사회적 복잡성(Complexity)이 확인되는 하나의 큰 집단으로 설정 가능해 재지계 중심의 정치체를 형성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4세기 중·후반을 기점으로 중심지는 화산천·반석천으로 이동하고 입지(구릉에서 평지), 주거지 평면형태(呂·凸자형 등장), 저장(밀집분포)·생산(공간 분화)·유물의 변화가 확인된다. 이러한 취락양상의 복합적인 변화는 백제의 영역 확장 과정과 밀접한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Increase in archaeological data requires careful analysis and analysis of the area. So this study attempts to review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uch settlements in Daejeon area -comprising house groups; tomb groups; and production, storage, and associated structures- to find out more about the changes that took place during the age of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The analysis allowed one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settlements through the 3rd and 4th centuries, which was aided by the social structures of indigenous people. Around the toprankcenter large settlement of the Yonggye-dong site, additional settlements popped up in the lowrank-center regions, while smaller settlements from the previous period developed into middle settlements. Remains were located under hills, and storage facilities were found concentrated in certain areas. Production activities consisted of making earthenware, forges, and beads in the house group areas of such settlements. From the mid to late 4th century, significant transformations were witnessed in locations (from hills to flat surfaces), sizes of settlements (small), floor plans of residential structures (呂·凸), storage (concentrated), and changes in production (Spatial separation) and relics. These transformations in Daejeon area are closely related to the expansion of Baekje territory.

목차

Ⅰ. 서론
Ⅱ. 분석 단위의 설정
Ⅲ. 대상유적의 공간구분
Ⅳ. 대전지역 취락유적의 상대편년
Ⅴ. 대전지역 취락의 분석과 변화양상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多熙(Kim, Dahee). (2017).原三國~百濟漢城期大田地域聚落의 變化樣相. 호서고고학, 38 , 4-35

MLA

金多熙(Kim, Dahee). "原三國~百濟漢城期大田地域聚落의 變化樣相." 호서고고학, 38.(2017): 4-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