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古代中國鎭의 변용과 낙랑고분 출토 鎭의 성격에 대한 검토

이용수 85

영문명
Review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Ancient Chinese Weight an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ight excavated in the Tombs of Nakrang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趙胤宰(Cho, Yunjae)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36집, 56~85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鎭(진)”혹은“鎭子(진자)”는 고대 물건을 눌러 고정시키는 기물을 칭한 용어였다. 즉 일정한 중량을 갖도록 만든 진은 책이나 종이를 눌러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書鎭(서진) 혹은 鎭紙(진지), 또 제사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바닥에 깔았던 대형 席子(석자)를 고정하기위해 사용된 席鎭(석진) 등 그 용도가 다양하였다. 그러나 종이가 발명되기 전 진자의 용도는 대부분 자리나 깔개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현재까지 보고된 자료에 의하면 서주시기부터 진자의 추형이 확인되고 있다. 陝西省寶鷄茹家庄M1에서 출토된 진자는 가장이른 시기의 진자 출토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후 紹興印山春秋墓 에서도 옥 재질의 천칭 형태의 진자가 보고되고 있어 그 시원은 서주춘추시기로 볼 수 있다. 전국시기로 접어 들면서 진자의 수량이 대폭 증가하고 있으며 漢代(한대)에 이르러 그 수량과 형태가 더욱 증가하고 다양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지상 건축물의 실내장식 및 의례용으로 사용된 기물이 매장 구조물인 고분에서 출토되는 양상은 상장의례의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표출하고 있다. 기존 출토된 진자에 대한 이해는 고분 피장자와 관련된 생전의 일상기물로 파악했던경향이 강했으나 최근 진자의 출토량이 증가하면서 새로운 해석이시도되고 있다. 단순한 피장자의 사용품일 가능성도 있으나 고분축조 및 하장의례 과정에서 사용되었던 기물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출토된 진자 자료와 고분자료를 분석하고 관련역사문헌을 통한 인증을 진행하여 진자의 형성배경, 변용, 고고학적의미 등에 대한 전면적인 고찰을 시도하려 한다. 이를 통해 석암리219호 및 9호분 등의 낙랑고분에서 출토된 진자에 대한 재검토를 진행하여 그 성격과 구체적 용도를 규명하려 한다.

영문 초록

“Jin(鎭)” or “Jinja(鎭子)” is a name for the object used for holding down other objects in the ancient times. In other words, Jin that was made with certain amount of weight had various purposes of use such as the Seojin(書鎭) or the Jinji(鎭紙) to hold down a book or paper, and the Seokjin(席鎭) which was used to fix the large Seokja(席子) that was laid on the ground to perform an ancestral rite or ceremony. However, before paper was invented, Jinja was mostly used to fix a mat or a rug. According to the record reported today, the conical type of Jinja is shown to have existed since the Western Zhou Dynasty. The Jinja that was excavated from the Shanxisheng Baoji Rujiazhuang M1 site is acknowledged to be the earliest form of Jinja, and the scale-type Jinja made of jade was also found in the Shaoxing Yinshan Grave to show that its origin is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of the Western Zhou Dynasty. In the Period of Civil Wars, the amount of Jinja increased greatly, and the its quantity and form increased even more in the Han Dynasty. Thus, the aspect of objects used for indoor decoration of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ceremonies being excavated in ancient tombs expresses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perspective of the funeral rites. In the Jinjas excavated in the past, they were mostly understood as an everyday life object used by the person buried, but as the number of excavation on Jinja increased recently, there are new analysis attempted. There are suggestions on the possibility that it may be simply an object used by the buried person, but others suggest that it may be an object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ancient tomb and in the funeral rite. In this study, the existing documents on the ancient tombs and on the Jinjas excavated are to be analyzed, and verification is to be performed through the historical literature to enable overall consideration on the background of formation on Jinja, its transformation and its archeological significance. Through this, the Jinja excavated in the Tombs of Nakrang in Seokam-ri No. 219 and No. 9 site is to be reviewed again for defining its characteristics and detailed purpose of use.

목차

Ⅰ. 머리말
Ⅱ. 중국 고대 鎭의 기원과 용도
Ⅲ. 낙랑 출토“鎭”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趙胤宰(Cho, Yunjae). (2017).古代中國鎭의 변용과 낙랑고분 출토 鎭의 성격에 대한 검토. 호서고고학, 36 , 56-85

MLA

趙胤宰(Cho, Yunjae). "古代中國鎭의 변용과 낙랑고분 출토 鎭의 성격에 대한 검토." 호서고고학, 36.(2017): 56-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