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松菊里文化의 石器編年

이용수 54

영문명
Chronological Study of Stone Tools in the Songguk-ri Culture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孫晙鎬(Son, Joon-Ho)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32집, 4~37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토기 연구에 있어 어느 정도 한계에 봉착한 송국리문화의 편년에 대하여, 기존의 주거형을 중심으로 한 분류를 보완할 수있는 새로운 대안으로서 석기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기존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지목되었던 시간성을 반영하는 속성들을 추출하여, 송국리문화 석기를 기종별로 형식 분류하였다. 그리고 다음으로분류된 석기 형식들이 송국리문화의 주요 분포 지역인 호서, 호남, 영남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형식 간 공반 관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분묘 부장품과 주거지 출토품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형식 간의공존 기간은 인정되지만, 어느 정도의 일정한 변화 방향을 경향성으로서 확인할 수 있었다. 석기 변화의 획기는 새로운 형식의 출현을기준으로 삼았는데, 유구석부 등장 이전의 1단계, 유구석부 등장 이후의 2단계, 삼각형석도가 등장하는 3단계로 구분하였다. 대체로 석기는 기능이 발달하고 제작이 간략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는데, 이는 농경이나 수렵 등에 있어서 생계 방식의 발전, 전쟁의 증가, 석기대량 생산 체제의 확립 등과 관련된 현상으로 이해하였다. 또, 형식학적으로나 공반 관계를 통해 볼 때 전기 형식으로부터 점진적으로진행되었으며, 새로운 기종의 등장이나 새로운 형식이 일시에 나타나는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석기의 변화상은 전기로부터의 계기적 발전을 주장하는 송국리문화 자체발생설을 지지하는 결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석기와 같은 특정 유물의 분석만으로해당 문화의 기원 문제를 단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관련 유구와 유물의 세밀한 분석과 함께 기원지로 추정되는 지역의 고고학적 상황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at complimenting and re-examining the chronology of the Songguk-ri Culture which has been established mainly based on pottery and dwelling pits, rather focusing on stone tools. Firstly, I classified these stone tools using the attributes which are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as reflecting the time difference. Secondly, transition of combinations of these materials were examined in the Hoseo, Honam and Yeongnam areas. As a result, although there are some parallels between the types of stone tools, basically they show the similar changes with time both in cemetery and settlement sites. The chronological periods are established by the appearance of grooved axes and triangle harvesting knives, which divide the phase Ⅰ from Ⅱ, and Ⅱ from Ⅲ, respectively. This way of changing can be explained by development of function and labor-saving in production, being raised from development of food acquisition such as crop cultivation and hunting/gathering, increase of armed conflicts, establish of stone tool mass production. According to this chronology, the stone tools in the Late Bronze Age seem to be gradu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Early Bronze Age, without any simultaneous appearance of new stone tool kits. Possibly it supports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as to the origin of Songguk-ri culture. However, only by this study on stone tool analysis, it is quite difficult to lead a definitive conclusion to this controversy as the opposing diffusion theory has been advocated based on the other materials such as pottery and subsistence patterns.

목차

Ⅰ. 머리말
Ⅱ. 형식 분류
Ⅲ. 공반 관계에 의한 변화상 검토
Ⅳ. 변화의 획기와 단계 설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孫晙鎬(Son, Joon-Ho). (2015).松菊里文化의 石器編年. 호서고고학, 32 , 4-37

MLA

孫晙鎬(Son, Joon-Ho). "松菊里文化의 石器編年." 호서고고학, 32.(2015): 4-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