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전기 제화시(題畫詩) 연구

이용수 243

영문명
A study on the painting poetry of the form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학술단체협의회
저자명
혜영(PARK, HAEYOUNG)
간행물 정보
『고황논집』제68집, 3~3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화시는 그림을 대상으로 한다. 이에 그림을 기준으로 제화시를 유형화하면 ‘산수 제화시’, ‘조수초목 제화시’, ‘누각인물 제화시’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조선 전기[태조-명종 연간] 문인들이 남긴 제화시 작품이다. 현재 『한국문집총간』에 수록된 조선 전기 제화시는 총 842제이다. 주요 작가는 신숙주, 서거정, 이승소, 이행, 정사룡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를 유형별로 나누면 누각인물, 산수, 조수초목 제화시 순으로 나타난다. 제화시 유형별로 그림 속 사물이 어떤 상징의미를 지니는지 분석하였다. 산수 제화시의 기본 소재는 산수, 즉 ‘자연’이다. 청산백운류의 산수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인 ‘이경(異境)’과 신선이 사는 ‘선계(仙界)’의 이미지가 강조되고 부각된다. 사시도 속 ‘계절’과 ‘기상’은 산수의 외부 조건에 따른 상태인데, 이를 시로 형상화할 땐 일반적인 산수의 경우와 구별되는, 다소 극적이고 특별한 상황을 즐겨 사용했다. 도원류의 산수도는 안평대군의 ‘도원몽(桃源夢)’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안평대군의 ‘몽도원(夢桃源)’은 현실에서 도원을 대리만족할 수 있는 매개체로 등장한다. 도원의 산수는 도가적 선경인데, 일반 산수와 다른 점은 환상성이다. 조수초목 제화시는 동물과 식물을 대상으로 한다. 조선 전기 영모류의 팔준은 태조의 조선 개국과 관련하여 공업의 조력자이자 하늘이 내린 신령한 영모로서 그 정당성을 입증하는 매개체였다. 화훼류의 대나무는 ‘신룡’으로, ‘군자’로 객체화되어 나타난다. 이때 신룡은 기존 신물(神物)의 이미지에 덧붙여 절개와 지조를 갖춘 존재로 나타난다. 이 절조의 속성은 대나무의 군자적 속성과도 연결되는데 이는 조선 전기 묵죽도 제화시에서부터 강화된 의미이다. 또한 대나무는 소상강(瀟湘江) 유역의 아황과 여영, 굴원과도 관련이 있다. 이때 ‘소상’의 대나무로서 ‘탈속’과 ‘비애’의 정서를 환기시킨다. 누각인물 제화시는 누각과 인물을 대상으로 한다. 계회류는 관료들의 공적 집단 모임과 문사들의 사적 친목 모임으로 나눌 수 있다. 형조와 사헌부 등의 공적 ‘관료 집단’에 대한 계회도 제화시가 해당 집단의 ‘정체성’과 ‘동료의식’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데 주력했다면, 사적 ‘문사 모임’의 계회도 제화시는 ‘풍류’와 ‘흥취’를 자랑하고 과시한다. 고사인물류는 해당 고사의 인물과 행적이 중심이 된다. ‘조어도(釣魚圖)’ 관련 인물로는 ‘태공’과 ‘엄광’이 있다. 조선 전기에는 때에 맞게 출사하여 태평한 세상을 만든 강태공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보다 많은 관심을 주었다. ‘이백’ 관련 제화시에서는 이백의 ‘문월(問月)’하는 행동을 중심으로 이백을 적선(謫仙)으로 그리며, 그의 신선적 풍채와 용모를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제화시의 상징이 제화시의 ‘안’과 ‘밖’에서 어떻게 연결되어 구현되는지 살펴보았다. 제화시 언어의 특징은 ‘물상의 관념화’와 ‘사건의 실재화’이다. 물상의 관념화는 물건의 형상이 정물화(靜物畵)로 박제되어 고정불변의 속성으로 치환되고 그 물상의 상징의미로 관념 속에 자리 잡는다. 사건의 실재화는 정지되어 있는 화면을 마치 실제 현실처럼 동적으로 상황 묘사하여 사건에 현장감을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제화시의 언어의 특성은 동일 소재의 영물시(詠物詩)·제영시(題詠詩)와 비교했을 때 더 확연히 드러난다. 그림을 바라보는 관점과 이를 해석하는 방식을 ‘독화법’이라고 한다. 독화의 ‘개인적’ 관점은 <상산사호도>를 대상으로 문인별 시각차를 살펴보았다. 개인의 출처관에 따라 그림을 바라보는 입장이 다르다. 독화의 ‘시대적’ 경향성은 15-16세기 계회의 풍경 묘사에 나타난 어조 변화에 집중하였다. 15세기에는 낙관의 화미가, 16세기에는 비관의 정조가 나타난다. 즉 같은 유형의 그림이라도 시대에 따라 다르게 독화할 수 있으며, 이 경향성은 제화시에 반영되어 드러난다.

영문 초록

A painting poetry targets paintings. So in Chapter II, it was typified based on paintings. This type is three, ‘landscape[山水] painting poetry’, ‘birds, animals and flowers[鳥獸草木] painting poetry’, ‘pavilion and figure[樓閣人物] painting poetr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poems of literary person[文人] in the former Joseon period. By sorting out of Joseon dynasty s literary person from Hankkuk Munjip Chonggan(Korea classic anthology) published by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DB and calculating pieces of painting poetry from each anthology, we have a result that there are 842 pieces of painting poetry. Major writers include Shin Suk-ju(申叔舟), Seo Geo-jeong(徐居正), Lee Seung-so(李承召), Lee haeng(李荇), and Jeong Sa-ryong(鄭士龍). When dividing types of painting poetry, it appears in the order of pavilion and figure painting poetry, landscape painting poetry, birds, animals and flowers painting poetry. The symbolic diagram of painting poetry is as follows. When objects come into contact with people and make a relationship, a meaning arises. And then it is shared within a group, it functions as a ‘object symbol’. The meaning conveyed through the symbolic action of this object through a painting is ‘painting symbol’, that is ‘Hwaui(畵意)’. On that basis, we analyzed what symbolic meaning of objects in the ‘Hwamyeon(畵面)’. The landscape of ‘CheongsanBaegun (靑山白雲)’ is ‘mysterious scenery[異境]’ and ‘world of sage[仙界]’. As a result, the landscape of CheongsanBaegun can be said to be the symbol of ‘unworldliness[脫俗]’ and ‘reclusiveness[隱逸]’. The season and weather of ‘four seasons[四時]’ is expressed to more or less dramatic situations. Examples are ‘wind and snow[風雪]’ in winter and ‘wind and rain[風雨]’ in summer. This reveals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easons and weather conditions through contrast and color. The landscape of ‘Dowon(桃源)’ is developed Anpyeongdaegun(安平大君) s ‘Dowonmong(桃源夢)’. This appears in reality as a medium that can satisfy Dowon as a proxy. Birds, animals and flowers painting poetry is intended for animals and plants. Eight steeds[八駿] of ‘birds and animals[翎毛]’ are a helper of contribution and a spiritual steed from heaven about King Taejo(太祖) s founding of Joseon. A bamboo of ‘flowering plant[花卉]’ is expressed to a ‘spiritual dragon[神 龍]’ and ‘Gunja(君子)’. The spiritual dragon appears as a being equipped with integrity in addition to the existing image of a god. And it is connected to the attribute of Gunja. In addition, a bamboo is related to ‘Seven sages of the bamboo grove[竹林 七賢]’, ‘Ahwang(娥皇) and Yeoyeong(女英)’, and ‘Gulwon(屈原)’. It evokes the sentiment of unworldliness in relation to the ‘bamboo grove[竹林]’, and sorrow for the bamboo of ‘sosang(瀟湘)’. pavilion and figure painting poetry is centered on the ‘people[人物]’ and ‘actions[行跡]’. The people about ‘Joeodo(釣 魚圖)’ are Taegong(太公) and Um Kwang(嚴光). According to the times and the personal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出 處觀]’, a positions on Taegong and Um Kwang are divided. In the former Joseon period, it was more interested in Taegong and looked at him positively. The moon and alcohol are the basics in the paintings of Lee Baek(李白). Lee Baek painting poetry draws Lee Baek in sage, and emphasizes his sage appearance. In the next, we looked at how symbols are connected and embodied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ainting poetry.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 poetry language are ‘idealization[觀念化] of objects’ and ‘realization[實在化] of events’. Idealization of objects describes the object statically. Conversely, realization of events describes the event dynamically. These characteristics are clearly evident when compared to ‘Yeongmulshi(詠物詩)’ and ‘Jeyoungshi(題詠詩)’ in the same material.

목차

1. 서론
2. 조선 전기 제화시의 상징 분석
3. 조선 전기 제화시의 안과 밖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혜영(PARK, HAEYOUNG). (2021).조선 전기 제화시(題畫詩) 연구. 고황논집, 68 , 3-30

MLA

혜영(PARK, HAEYOUNG). "조선 전기 제화시(題畫詩) 연구." 고황논집, 68.(2021): 3-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