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재활에 참여중인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만족 및 직무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Effect of Mentally Challenged Persons’ Satisfaction with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Job Position on Contentment with Life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이은모(Lee, Eun-Mo) 황경열(Hwang, Kyoung-Ryoul)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5권 제1호, 93~10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1.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업재활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만족 및 직무만족도가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구, 경북지역에 소재하는 사회복귀시설및 정신보건센터 10개 기관에서 직업재활에 참여 중인 정신장애인 1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리라 예상되는 변수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는 직업재활시설의 유형, 직종,직업재활을 통해 바라는 점 등과 같은 직업재활 특성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재활만족 및 직무만족도는, 직무만족과 자기성장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독상사와의 관계와 동료와의 관계, 감독상사와의 관계와 자기성장, 일상생활과 동료와의 관계, 일상생활과 직무만족, 가족관계와 직무만족 간 상관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감독 및 상사와의 관계, 동료관계, 가족관계, 일상생활 등의 사회적 특성과 직무만족과 자기성장 등의 직업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프로그램만족도와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감독 및 상사와의 관계, 동료관계, 가족관계, 일상생활 등의 사회적 특성과 직무만족과 자기성장 등의 직업적 특성이며,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삶의 만족도에 대한 직업재활관련 개인적 특성, 사회적 특성, 직업적 특성의 전체 설명력은 71% 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 in this study were 159 people who were atten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at mental rehabilitation center and mental health center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result is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in term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haracteristics, including typ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occupation and expectation placed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Second, the study found that vocational rehabilit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expect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drawing contentment with life,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self-empowerment,followed by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and coworkers,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and self-empowerment, ordinary life and relationship with coworkers,ordinary life and job satisfaction and finally family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Third, the contributors to satisfaction with life included 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and boss, coworkers, family members and everyday life and vocat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atisfac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self-empower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모(Lee, Eun-Mo),황경열(Hwang, Kyoung-Ryoul). (2012).직업재활에 참여중인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만족 및 직무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5 (1), 93-106

MLA

이은모(Lee, Eun-Mo),황경열(Hwang, Kyoung-Ryoul). "직업재활에 참여중인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만족 및 직무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5.1(2012): 93-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