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테이션 일레븐』

이용수 67

영문명
Station Eleven: Can the Post-Apocalypse Fiction Imagine the World after a Pandemic?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저자명
송은주(Eunju Song)
간행물 정보
『영미연구』제52집, 25~5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는 인간이 지구 환경을 바꾸는 지질학적 힘이 되었다는 인류세에 들어섰으며, 코비드 19와 같은 팬데믹은 그러한 인류세적 사건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인간적 인식과 감각의 범위를 넘어서는 시공간적 규모의 인류세적 사건은 문학적 재현에서도 새로운 문제를 제기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포스트-아포칼립스 장르 소설을 통해 인류세 문학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2014년 발표된 『스테이션 일레븐』은 치명적인 팬데믹으로 인류의 거의 대부분이 사망하고 문명이 붕괴한 지 20년 후를 배경으로, 이 종말 이후의 세계에서 인간의 생존이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다룬다. 『스테이션 일레븐』은 재난을 스펙터클로 재현함으로써 오락적 쾌감을 제공하려는 장르소설의 관례를 따라, 조지아 독감을 핵폭탄처럼 급속히 퍼지며 원인을 알 수 없고 통제도 불가능한 사건으로 재현한다. 그러나 현실에서 인류세의 팬데믹은 정치적, 사회적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동하여 발생한다. 소설은 이러한 팬데믹의 성격을 적절히 포착하지 못했기 때문에 왜 문명이 붕괴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성찰하는 데 실패하며, 화석연료에 기반한 석유 문명에 대한 향수를 버리지 못하고 과거 문명으로의 회귀를 꿈꾼다. 전기의 존재를 통해 화석연료 문명의 부활을 암시하는 결말은 소설이 재난 이후의 세계를 그리면서 화석연료 문명 넘어 대안적 삶의 가능성을 상상하는 데 실패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소설은 플롯 차원에서는 장르소설의 한계를 드러내지만, 비행을 통한 이동성의 강화와 전지구적으로 확산된 자본주의가 팬데믹을 촉발했음을 배경 묘사에서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또한 질병이라는 비-인간적 요소에 의해 행위성을 제한당하는 인간의 취약성에 대한 인식은 인류세의 인간 존재 조건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공존의 윤리에 대한 모색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팬데믹의 생존자들이 형성한 공동체들을 통해 재난 이후의 삶의 긍정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We have entered into the Anthropocene, when human became the geological force to transform the environment. COVID-19 has characteristics of the Anthropocene events. They raise the issues of representation in literature because they exceed the range of human perceptions and recognition. Therefore, this essa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the Post-Apocalypse fictions as the Anthropocene literature for representing its crisis. Emily St. John Mandel’s Arthur Clark prizewinning novel, Station Eleven addresses what meaning the human survival could have in the world after a lethal pandemic, where almost all mankind died and the civilization collapsed. The novel presents Georgia Flu as an ill-defined, uncontrollable disaster like a nuclear bombing following the convention of genre fictions to depict disasters as spectacles for entertainment. However, in reality, a pandemic takes place from complex combination of political and social causes. The novel fails to capture the nature of pandemics and contemplate fundamental reasons for the collapse of civilization. It results in dreaming of returning to the past fossil fuel civilization without reflections on it. The ending that implies its restoration means that the novel doesn’t imagine the alternative of the world after the pandemic. Although it reveals the limitation of genre fictions in terms of its plot, it indirectly suggests that enhanced mobility and global capitalism prompted outbreak of a pandemic. Furthermore, the recognition of human vulnerability and limited agency restricted by non-human agents including disease can lead to a renewed awareness of what is human in the Anthropocene and what ethics we should pursue for coexistence. Additionally, it is noteworthy that the novel presents affirmative prospects for the life after the apocalypse through visions of communities of survivor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아포칼립스의 시작: 팬데믹과 인류세
Ⅲ. 인류세 문학으로서 포스트-아포칼립스 소설의 가능성
Ⅳ.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은주(Eunju Song). (2021).『스테이션 일레븐』. 영미연구, 52 , 25-51

MLA

송은주(Eunju Song). "『스테이션 일레븐』." 영미연구, 52.(2021): 25-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