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근로자와 비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Workers without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김종인(Kim Jong-Ihb) 이완우(Lee Wan-Woo)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47권, 45~6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 내 장애인근로자와 비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를 통하여 기업의 생산성향상 및 인사관리의 지침이 되고자 하는 것은 물론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이나 직무교육에도 기여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고용사업장의 장애인 근로자의 만족도(M ; 3.33)가 비장애인 근로자(M ; 3.410 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장애인 근로자와 비장애인 근로자의 만족도가 보통 유의 수준보다는 조금 높은 것이다. 유의 수준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장애인 근로자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요인으로서는 급여수준, 업무 분야에서부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애영역별로는 발달장애가 M = 3.61로 제일 높게 나타났으며 시각장애 M = 3.29, 지체장애 M = 3.28이었으며, 청각장애 M = 3.09순이었으며 뇌병변장애 M = 3.0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장애인 근로자와 비장애인 근로자의 만족도 요인을 결론적으로 분석·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근로자의 조절변수에 서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연구한 결과 성별, 교육정도, 업무분야, 이직횟수, 급여수준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연령, 직종, 근무년수, 거주형태, 거주지, 장애유형, 장애정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장애인 근로자의 조절변수에 따라서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연구한 결과 결혼유무, 교육정도, 업무분야, 장애유형, 장애정도, 급여수준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성별, 연령, 직종, 근무년수, 이직횟수, 거주형태, 거주지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비장애인 근로자의 조절변수에 따라서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연구한 결과 성별, 업무분야, 급여수준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연령, 결혼유무, 교육, 직종, 근무년수, 이직횟수, 거주형태, 거주지, 장애유형, 장애정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넷째, 통계분석을 통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일반현황을 알아본 것은 다음과 같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은 제조업체(비장애인근로자 56.75%, 장애인근로자 62.99%)에 가장 많이 근무하고 있으며 동일사업장내에 근무하는 장애인근로자와 비장애인근로자의 급여수준차이, 근속기간차이, 하는 업무, 학력정도, 이직횟수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직업재활 정책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장애인근로자와 비장애인근로자는 교육 정도, 급여 수준, 업무 분야에 동등한 직무만족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에 대한 교육과 고용의 연계 체제 개발과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 향상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교에서의 직무교육이나 진로교육 나아가 직업훈련시설이나 기관에서의 교육과 훈련이 직무수행이나 만족도와 영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Research that conduct abstract wishes to become productivity elevation of company and index hand of personnel management through our country company my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workers without disabilities job satisfaction comparative study who is storing in secrecy child. Is same as following if summarize main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it is result distinction of sex that study difference of three job satisfactions, education degree, business quantity in whole worker s regulation variable, displayed change of post number of times,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in allowance level. But, did not express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that gouge age, occupation, length of service, dwelling form, residential district, Type of disability, Level of disability. Second, it is result marriage existence and nonexistence that study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therefore in workers with disabilities regulation variable, education degree, business quantity, Type of disability, Level of disability. expressed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in allowance level. But, did not express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distinction of sex, age, occupation, length of service, change of post number of times, dwelling form, residential district. Third, storing in secrecy child is result distinction of sex, business quantity that study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therefore in worker s regulation variable, expressed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in allowance level. But, did not express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that gouge age, marriage existence and nonexistence, education, occupation, length of service, change of post number of times, dwelling form, residential district, Type of disability, Level of disability. Fourth, it is same as following that search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a storing in secrecy lover s general present condition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workers without disabilities allowance level difference who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workers with disabilities most to manufacturer(Workers without disabilities 56.75%, Workers with disabilities 62.99%) and work in same place of business, continuous service period difference, is appearing that function, about attainments in scholarship, variance of change of post number of times that do show and long-term and systematic policy development is required urgently in reply. Also, coming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workers without disabilities about education, need to present workers with disabilities job satisfaction elevation alternative in reply being expressing alike job satisfaction difference level, business department dange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인(Kim Jong-Ihb),이완우(Lee Wan-Woo). (2006).장애인근로자와 비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47 , 45-62

MLA

김종인(Kim Jong-Ihb),이완우(Lee Wan-Woo). "장애인근로자와 비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47.(2006): 45-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