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랑, 림보, 집단적 기억

이용수 65

영문명
Exile, Limbo, Collective Memory: Caribbean Archipelago and the Homeland Journey of Kamau Brathwaite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박주식(Jusik Park)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26권 2호, 77~11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카리브 군도가 경험해 온 특별한 식민주의 역사와 그것이 함유한 독특한 지리학적 의미에 힘입어 근래에 들어와 카리브해 연구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여 왔다. 이제 카리브해 연구는 단순한 지역학의 한계를 넘어서서 인문학의 지평을 새롭게 열어줄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카리브 군도는 근대화 과정 속에서 동과서가 교차하는 대표적인 혼종적 공간으로 자리잡아왔다는 인식이 깔려있다. 이 지역에서 배출된 많은 작가들은 무엇보다 카리브인의 정체성을 밝히고자 했고 나아가 카리브 군도가 갖는 특별한 의미를 그들의 문학에 담아내고자 했다. 그 중 카리브군도 바베이도스 출신의 카마우 브래스웨이트는 예술 창작과 학문적 글쓰기의 경계를 허물었고, 글쓰기의 엄격한 규범을 파괴했으며, 또 파격적인 실험정신을 자신의 작품에 도입한 영미권 카리브 군도의 대표 작가로 꼽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문학과 학문은 데릭 월콧, 로지 래밍 및 윌슨 해리스의 업적에 비해 비교적 소홀히 취급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의 출발점은 이제 브래스웨이트의 업적에 대한 정당한 평가가 요구된다는 인식과 함께 한다. 이 연구는 브래스웨이트가 남긴 많은 저술 가운데 특별히 이론적 저술에 초점을 맞춰 카리브 군도의 특별한 의미를 추적하고자했던 그의 작업이 갖는 학문적 의미를 살펴보려 한다. 브래스웨이트는 크레올화, 해류변증법, 구어性, 민족어, 문화전이와 같은 다양한 개념들을 동원해 카리브 군도에 각인되어 있는 카리브性을 추적하고 있다. 그가 구사한 이 용어들은 한 때 탈식민주의 문화이론을 장식했던 스피박의 서벌턴(subaltern)이나 호미 바바의 양가성과 혼종성 이상으로 연구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과연 그가 동원한 다양한 개념들은 어떤 변별력을 갖고 있으며 또 그것들은 카리브 군도의 특별한 의미를 밝히는 적합한 잣대를 제공할 수 있는가? 그의 아프리카 중심주의는 작금의 탈경계와 탈이념의 시대에 걸맞은 충분한 학문적 설득력을 지닐 수 있는가? 이러한 의문들을 토대로 이 연구는 브래스웨이트의 이론적 저술이 관여하고 있는 핵심 내용들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표면상으로는 카리브 해 지역연구와 브래스웨이트라는 한 사람의 작가 연구를 표방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주요 저술이 관여하고 있는 금세기 지구화 시대의 근본적인 문제들(예컨대, 민족, 국가, 지구화, 이산, 문화정체성 등)을 보다 새로운 각도에서 조망함으로써 인문학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고자 기대한다.

영문 초록

Mainly due to the unprecedented colonial history that the Caribbean archipelago once experienced and the nuanced geographical implications that it represents, in these days Caribbean studies has blossomed to its prime moment. Now, Caribbean studies even offers a possibility that it can open a new horizon for humanities studies itself. Behind this new academic trend there lies a recognition that the Caribbean archipelago has become a special hybrid space where East and West met and clashed each other amidst the turmoil of modernity. The Barbadian Kamau Brathwaite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Anglophone Caribbean writers who broke the boundary between artistic creation and academic writing, went beyond the conventional systems of writing, and introduced a highly experimental form of writing into his poetry. However, it is true that his writing, literary and theoretical, has been rather treated as lightly in the academic circle, compared with those of Derek Walcott, George Lamming, and Wilson Harris. The present study is primarily motivated by the writer’s idea that now is time to pay attention to Brathwaite’s writings more attentively. Focusing upon Brathwaite’s theoretical writings specifically,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what kind of academic significance his life-long endeavors (the endeavor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so-called Caribbean-ness) have. Brathwaite has long traced the special meanings of Caribbean-ness lurked behind the terms like creolization, tidalectics, orality, nation language, and transculturation. These terms are now asking researchers’ special attention, as Homi Bhabha’s hybridity and Gayatri Spivak’s subaltern once did in the field of post-colonial studies. How, then, are Brathwaite’s key concepts different? Can they be a meaningful standard for investigating the special meaning of the Caribbean archipelago? How do we evaluate Brathwaite’s Afocentricism? Can it be justified as a theoretical paradigm in the age of current globalization? With these questions in mind, the writer is going to deal with the key issues that Brathwaite’s writings are mainly concerned with. In so doing, this study hopes to be an eye-opener for the issues that his writings suggest in terms of modernity and globalization, the issues like diaspora, nation, ethnicity, cultural identity, and so on.

목차

1. 들어가며
2. 근대화, 제국주의, 그리고 카리브 군도의 특별함
3. 브래스웨이트의 신세계 시학: 크레올화(creolization)와 문화전이(trasculturation)
4. 구어성(口語性, orality), 민족어(Nation Language) 그리고 표준영어의 신화
5. 브래스웨이트의 아프리카중심주의 그리고 그 너머
6.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주식(Jusik Park). (2021).유랑, 림보, 집단적 기억. 비평과 이론, 26 (2), 77-112

MLA

박주식(Jusik Park). "유랑, 림보, 집단적 기억." 비평과 이론, 26.2(2021): 77-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