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3.1운동 전후 한국인 천주교 사제와 신학생의 민족의식

이용수 117

영문명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Korean Catholic priests and seminarians before and after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발행기관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저자명
원재연(Won Jaeyeon)
간행물 정보
『누리와 말씀』제47호, 35~7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제강점기 한국의 천주교 신자들은 프랑스인 주교들과 선교사들의 철저한 감독하에서 3.1운동 참여는 물론이고 최소한의 민족의식 표출마저 억제당하고 있었다. 1896년부터 강성삼, 정규하, 강도영 신부를 비롯하여 일제 말까지 총(180여)명의 한국인 사제와 그보다 많은 신학생들이 배출되면서 이들의 민족의식은 3.1운동을 전후하여 조금씩 표출되기 시작했고, 부분적으로는 민족 운동에 참여하는 쪽으로 나아가기도 했다. 프랑스 선교사들은 성속이원론(聖俗二元論)에 입각한 정교분리(政敎分離)를 표방했으나 실제로는 일제에 협조하였고, 같은 사제이면서도 연례적인 피정 장소를 달리하고, 포도주 배급량에 차이를 두는 등 한국인 사제들을 차별적으로 대우해왔다. 이처럼 명분과 실제가 일치하지 않고 불평등한 교회운영에 대해서 서울대목구의 한국인 사제들은 1910년대의 포도주 배급 불평등 사건에서 개인적으로 저항하여 종교적 민족주의의 싹을 틔웠고, 1920년대 이후 3.1운동으로 고양된 정치적 민족의식에 힘입어 몇몇 사제들은 독립국가 건설이라는 목표를 향해 나아갔다. 윤례원 토마스 신부는 3.1운동 직후 황해도 은율본당과 그 인근 장연에서 상해 임시정부에 독립군자금을 모금했다. 안학만 루가 신부는 1922년 압고지 본당에 부임하여 삼성강습소를 차려 본당 신자들과 지역주민들의 민족정신과 독립사상을 고양시켰고, 1929년부터 1937년까지 만주로 가서 직접 독립군 활동에 참여하였다. 김영근 베드로 신부는 1936년부터 수원의 왕림본당에 부임하여 왕림강습회를 세우고 지역 청년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하다가 일제경찰의 감시 대상이 되었다. 3.1운동을 전후하여 소신학교에서 평신도 교사 장면 요한의 민족주의 연설에 감흥을 받았던 노기남 바오로 신학생과 그 동급생들 및 그들의 후배인 오기선요셉 신학생과 그 동기들은 매주 목요일 동작동 소풍을 계기로 항일연설을 하고 독립가 등을 부르면서 정치적 민족의식을 표출하곤 했다. 또한 그들은 라리보 주교와 샤보 신부 등 일부 프랑스 선교사들의 협조를 받아 영어, 프랑스어 등 외국어 학습의 자유를 얻어냈고, 가족면회소의 확충과 각종 체육시설의 신설, 소신학교의 총독부 인가 등을 획득할 정도로 종교적 민족의식도 성장시켜 나갔다. 한국인 사제들과 신학생들의 종교적 민족주의는 1930년대의 황해도, 전라북도 등에 방인사제 자치교구를 설립하는 데에 밑거름이 되었으나, 그들의 정치적 민족주의는 일제의 만주, 중국침략과 태평양전쟁 등을 전후하여 등장한 황국신민화와 신사참배, 총력동원 체제 등에 굴복하여 잠식되고 말았다.

영문 초록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Catholics has been oppressed by the strict control of French bishops and priests, so they could hardly appear their national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participation. From the ordination of the 3 Korean priests such as Kang Seongsam (姜聖參), Jeong Gyuha (鄭圭夏), Kang Doyeong (姜道永) in 1896 to the end of Japan’s colonial period in 1945, the number of Korean priests reached to 180 and Korean seminarians were more than that. Taking encouragement from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the Korean priests and seminarians had begun to express their national consciousnesses little by little, and some of them took part in this movement. The French missionary in Korea has claimed to stand for “the policy of non-interven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political authority (政敎分離) based on the separation principle of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聖俗二元論)”, but they actually strung along with the colonial policy of Japanese. French missionaries have the discriminating thought of treating Korean priests compared with them insomuch as they had different place of annual retreat and distributed the quantity of altar wine inequitably. So the Korean priests who belonged to Kyeongseong Diocese, which was ministered by Papal dispatched bishop (京城代牧區, 京城敎皇派遣監牧代理區) offered a little passive and personal resistance against the French Missionary due to ‘the altar wine scandal’ in 1910s, and sprouted the bud of religious nationalism. And after 1920s, they advanced to the goal to establish independent nation with nationalism which was enhanced by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ese are the good examples of such case. Fr. Yoon Ryewon(尹禮源) Thomas made a collection for Independent Army which was manag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臨時政府) of Korea at Sanghai (上海), China. He took such actions not only within his parish bound Eunyool(殷栗) county, but also the near Jangyeon(長淵) county. Fr. An Hakman(安學萬) Lucas proceeded to his appointed post at Apkozi[前垈里] parish in the Kyeonggi(京畿道) province in 1922 and he established a training school named Samseong Kangseupso. He stirred up the national spirits and thought of independence for the faithful catholic and local residents in his parish. And after that, he himself went to Manchuria(滿洲) to participate in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from 1929 to 1937. Fr. Kim Yeonggeun(金永 根) Petrus went to his appointed parish post Wanglim[旺林] in Suwon, Kyeonggi province in 1936. He established also a training school named Wanglim Kangseupso, also stirred up the national consciousness for the youths in that county. Due to this action, he became to be the monitoring object by the Japanese police station. Before and after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Ro kinam (盧基南) Paulus, seminarian and his classmates and Oh Kiseon (吳基善) Joseph, seminarian and his comrades have often been touched deeply by the patriotic speeches of Jang myeon (張 勉) John the Baptist, a layman teacher. As a result of it, they expressed their political nationalism during their field trip to the forest at Dongjak village every Thursday, and there they usually had many critical speeches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nd sang independence songs. Owe to the help of some French missionaries such as Bishop Larribeau and Fr. Chabot, the Korean seminarians could acquire free right to learn foreign languages such as English and French. With this, they could develop their religious nationalism and acquire the expansion of family reunion room, various sports facilities establishment and minor seminary license from Japanese government. The religious nationalism of the Korean catholic priests and seminarians have become to the bases of constructing their autonomous diocese (自治敎區) by Korean priests in hwanghae (黃海道) province and North Jeonla (全羅北道) province in 1930s.

목차

머리말: 3.1운동 전후 한국 천주교회는 민족 운동에 관여하지 않았나?
Ⅰ. 국권 상실과 한국 천주교회가 내건 정교분리의 실상
Ⅱ. 대구, 서울 신학교 만세 시위와 한국인 사제, 신학생들의 정치적 민족의식 발흥
Ⅲ. 3.1운동을 전후한 시기 한국인 사제, 신학생들의 종교적 민족의식의 전개
맺음말: 3.1운동 전후 한국인 사제, 신학생의 민족의식과 그 귀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원재연(Won Jaeyeon). (2020).3.1운동 전후 한국인 천주교 사제와 신학생의 민족의식. 누리와 말씀, (47), 35-72

MLA

원재연(Won Jaeyeon). "3.1운동 전후 한국인 천주교 사제와 신학생의 민족의식." 누리와 말씀, .47(2020): 35-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