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살아있는 죽음’과 ‘거듭남’ 사이의 여정”

이용수 166

영문명
“A Journey Between ‘Living Death’ and ‘Rebirth’”: Medical Treatments and Patients in the National Leprosarium in Carville, Louisiana during the Early and Mid-Twentieth Century
발행기관
의료역사연구회
저자명
공혜정(Kong, Hye-Jung)
간행물 정보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의료사회사연구 제7집, 105~145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세기 초중반의 루이지애나(Louisiana)주 카빌(Carville) 시에 있는 미국 국립나병원(National Leprosarium 혹은 U.S. Marine Hospital No.66)을 중심으로 역사적으로 ‘살아있되 죽은 사람(the living dead)’으로 취급되었던 한센병 환자들이 1940년대 이후 썰폰 치료요법의 효과로 ‘거듭남’(rebirth)의 삶을 살게 되는 이야기를 고찰한다. 19세기 후반 미국에서는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으로의 식민진출 및 경영의 필요성과 세계 각지로부터 몰려든 이민자들에 대한 경계심에서 한센병에 대한 두려움이 부활하였다. 1894년 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New Orleans)시와 배턴 루즈(Baton Rouse) 시 사이의 미시시피(Mississippi)강변에 위치한 카빌 시에 루이지애나 주립 나환자수용소(Louisiana Leper Home)가 세워졌다. 1921년에 미국 공중보건국(U.S. Public Health Service)은 한센병 감염으로부터 미국민을 보호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루이지애나 주립나환자수용소를 인수하여 국립나병원으로 재탄생시켰다. 국립나병원에서 한센인들은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고립되고 외부 세계와 철저하게 격리된 삶을 살아야만 했다. 한센병과 관련된 사회적, 종교적 낙인은 모든 한센인들의 기본 인권과 시민권(citizenship)을 박탈하는 일련의 굴욕적인 규칙을 강요하였다. 국립나병원의 환자들은 외부세계와의 단절은 물론 그 병원 내부에서 인종별, 민족별, 성별로 분리되고 단절된 생활을 하였다. 19세기 중반 동남아시아에서 도입된 대풍자유 경구투입과 피하주사는 1920년대부터 1940년까지 대표적인 한센병 완화 및 치료제였다. 썰폰 치료요법이 성공을 거두기 시작한 1940년대 중반 이후 한센병 치료는 지속적인 발전을 하였고 국립나병원 환자들의 외적, 내적 삶에도 큰 변화를 야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patients with Hansen’s disease or leprosy patients in the National Leprosarium in Carville, Louisiana during the early and mid-twentieth century. These patients, who used to be considered “the living dead,” benefitted from sulfone therapy in the 1940s and thus became “born again.”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onwards, fear about leprosy was aggravated in the United States, linked to the need for colonial management in Asia and the Pacific Islands, and the anxiety related to immigration from all over the world. In 1894, Louisiana Leper Home was established in Carville on the bank of the Mississippi river, located between New Orleans and Baton Rouge. Driven by the impending national need to protect Americans from Hansen s disease, the U.S. Public Health Service acquired the Louisiana Leper Home in 1921 and transformed it into the National Leprosarium (U.S. Marine Hospital No. 66). Patients in the National Leprosarium had to accept that they would be segregated, living polit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isolated from the outside world. The social and religious stigmas associated with leprosy reinforced a set of humiliating rules and regulations which stripped all inmates of their basic rights and citizenship. Inside the hospital walls, their lives were also segregated by race, ethnicity, and gender. Introduced from Southeast Asia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Chaulmoogra oil therapy was used as a popular medical treatment for leprosy from the 1920s to the 1940s, either through oral administration or subcutaneous injection. Since the mid-1940s, when the sulfone therapy was first introduced to treat leprosy, medical treatments for Hansen’s disease continued to improve and eventually transformed the lives of patients at the National Leprosarium, from a social “living death” to a “rebirth.”

목차

1. 서론
2. 여정(Journey): 국립나병원의 설립과 발전
3. 살아있는 죽음(Living Death): 병원에서의 환자들의 삶
4. 거듭남(Rebirth): 치료제의 발전에 따른 변화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공혜정(Kong, Hye-Jung). (2021).“‘살아있는 죽음’과 ‘거듭남’ 사이의 여정”.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7 , 105-145

MLA

공혜정(Kong, Hye-Jung). "“‘살아있는 죽음’과 ‘거듭남’ 사이의 여정”."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7.(2021): 105-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