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지와 고지도로 살펴본 고군산군도의 역사경관과 명소 인식

이용수 316

영문명
The Historical Landscape and Recognition of Attractions in the Gogunsan Archipelago through the Geographical Texts and Old Maps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정우진(Woo-Jin Jung) 김일림(Il-Rim Kim)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33권 제1호, 1~3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군산의 지역 정체성을 주도하는 명소를 대상으로 경관 인식의 논리와 인문경관적 요소를 탐색하는 것이다. 조선 전기까지 인식된 고군산의 지리정보는 배를 감출 곳이 있어 조운선이 순풍을 기다린 다거나, 무덤에서 금은으로 된 그릇이 도굴되었다는 내용에 국한되었다. 1621년 군산도에 고군산진이 설치되어 해방(海防)이 가능해지면서 황금어장으로 몰려든 산업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는데, 이는 고군산 지역에 새로운 장소성이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고군산도의 발전과 함께 형성된 문화경관의 명소 인식은 『대동지지』, 『호남진지』와 일제시기 『동아일보·도서순례』 등의 자료에 잘 나타나 있었다. 망주봉은 많은 유배인이 고군산도에 들어옴에 따라 충절지사의 지형으로 상징되었고, 선유봉은 무녀도, 삼도와 더불어 선계의 영역에 비의되었다. 이와 더불어 고군산을 둘러친 방파제의 역할을 하는 십이봉은 무산십이봉으로 이름을 바꿔 부름으로써 신선이 사는 이상 장소로 전화되었다. 장자봉은 장자할매 설화의 현장으로 조명되면서 횡경도의 할배바위와 지리적 친연성이 부각된다. 또한 최치원의 사적인 월영봉은 고군산도에서 금도치굴의 경관인식 논리로 발전했는데, 이상을 통해 고군산 지역에는 경물 분포에 따른 다원적 의미구성이 각각의 명소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ogic of landscape perception and the elements of humanities and landscapes which are regarded as landmarks that lead the regional identity of Gogunsan area.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Gogunsan area, which had been recognized until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limited to the content that there was a place to hide the ship so that the ship was waiting for a good wind or that gold ware and silverware were stolen from the tomb. As Gogunsanjin Garrison was established on Gunsando Island in 1621 and damage from the sea was prevented, the place saw the industrial population that flocked to the rich fishing grounds rapidly increase. That was how a new place was formed in the Gogunsando area. With the development of the Gogunsand Island, the recognition of the cultural landscape as a tourist attraction was formed, which can be seen in the sources such as Daedongjiji, Honamjinji, and the Dong-A Ilbo and Doseosunre (Island Pilgrimag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many exiles entered Gogunsando Island, Mangjubong Peak was symbolized as the topography of a man of loyalty. And Seonyubong Peak became an area of the realm of the transcendents along with Mugnyeodo and Samdo Islads. In addition, Twelve Peaks, which acts as a breakwater around Gogunsan area, was transformed into an “ideal place,” where heavenly hermits live by changing its name to Twelve Peaks of Musan. As Jangjabong Peak is illuminated as the site of the story of Jangja Grandma, the geographical affinity with Grandpa Rock in Hoenggyeongdo Island is highlighted. In addition, Wolyeongbong Peak, the historic site of Choi Chi-won, developed into the logic of the Golden Pig Cave of Gogunsando Island. As shown by the above mentioned, it is found that the pluralistic composition of meaning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scenic objects has formed each site as a landmark.

목차

1. 서론
2. 관찬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술된 조선 전기 군산도의 지리정보
3. 19세기 중반 고군산군도의 본격적 지리서술, 『대동지지(大東地志)』
4. 19세기 말 고군산군도 지리정보 총설, 『호남진지(湖南鎭誌)』
5. 고군산군도 향토경관의 재발견: 1928년 『동아일보』 「도서순례·고군산열도」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우진(Woo-Jin Jung),김일림(Il-Rim Kim). (2021).지지와 고지도로 살펴본 고군산군도의 역사경관과 명소 인식. 문화역사지리, 33 (1), 1-36

MLA

정우진(Woo-Jin Jung),김일림(Il-Rim Kim). "지지와 고지도로 살펴본 고군산군도의 역사경관과 명소 인식." 문화역사지리, 33.1(2021): 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