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항선의 기능 및 연선 지역의 변화

이용수 393

영문명
Changes of the Functions of Janghang Line and the Areas along the Line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심승희(Seung Hee Shim) 한지은(Ji-Eun Han)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33권 제1호, 134~157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항선이 개통된 일제강점기부터 서해선과 연결중인 현재까지의 장항선의 기능 및 연선 지역의 변화를 주요 시기별로 탐색하는 것이다. 시기 구분은 장항선이 개통된 일제강점기, 그리고 광복 이후부터 수도권광역전철의 개통 및 군산선이 장항선에 통합되기 이전과 이후 시기이며, 각 시기별 장항선 철도의 인프라적 상황, 화물 및 여객 운송의 특징, 지역 변화와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일제강점기의 장항선은 간선철도의 배양선 역할을 담당한 사설철도로 건설·운영되었는데, 개통 초기 미곡 반출 등 화물 수송 기능이 우세했으나 점차 여객 수송 기능이 강화되었다. 광복 이후에는 국유철도로 통합되었으나 대도시나 큰 산업단지를 끼고 있지 않았던 장항선은 수도권 광역전철화 및 군산선 통합 전까지 단선비전철 상태가 지속되었고 이로 인해 수송 기능이 도로교통에 밀리게 되었다. 2008년부터 천안 및 아산 구간이 수도권 광역전철 노선에 포함되면서 장항선의 전철화·복선화가 본격화되었고 같은 해 군산선이 장항선에 통합되면서 장항선의 종점이 기존 장항에서 익산까지 연장되었다. 장항선은 조만간 서해선과의 연결을 통해 서해안 산업회랑에 대한 화물 수송 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중부권 동서횡단 철도의 건설 계획이 실현된다면 취약했던 동서축 철도망이 보완되고 지역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of the Janghang Line’s function and the area along the line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Janghang Line was opened to the present day. This study found that the Janghang Lin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built and operated as a private railway that served as a feeder for the arterial railways. In the early days of opening, cargo (ex. rice) transportation functions were dominant, but passenger transportation functions gradually strengthened. After national independence, the Janghang Line was integrated as a state railway, until Gunsan Line were integrated, is continued in the status of a single line non-electric railway. Therefore the function of transporting cargo and passengers was lost to road traffic. Since 2008, as the Cheonan and Asan sections were included in the Metro lin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Janghang Line is being electrified and double tracked. As the Gunsan Line was incorporated into the Janghang Line in 2008, the end point of the Janghang Line was extended to Iksan. The Janghang Line is expected to reinforce the cargo transportation function for the industrial belt along the west coast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Seohae Line.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수도권 광역전철 개통 및 장항선-군산선 통합 이전 시기
4. 수도권 광역전철의 개통과 장항선-군산선 통합 이후 시기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승희(Seung Hee Shim),한지은(Ji-Eun Han). (2021).장항선의 기능 및 연선 지역의 변화. 문화역사지리, 33 (1), 134-157

MLA

심승희(Seung Hee Shim),한지은(Ji-Eun Han). "장항선의 기능 및 연선 지역의 변화." 문화역사지리, 33.1(2021): 134-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