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제국의 ‘국가풍경’으로서의 금강산 생산

이용수 295

영문명
The Production of Mt. Geumgang as a ‘National Landscape’ of the Japanese Empire - Discussions on the Designation of Geumgangsan National Park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김지영(Jiyoung Kim)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33권 제1호, 106~133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본제국은 식민지 조선에 근대적 풍경관과 국립공원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금강산을 ‘국가풍경’으로 전유했다. 본 논문은 일본제국이 내지(內地)와 외지(外地)의 경관을 선택적으로 국립공원으로 지정하는 과정에서 금강산의 ‘국가풍경’ 생산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고찰한다. 구체적으로 일본의 ‘국가풍경’ 담론이 국립공원 풍경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금강산을 국립공원 풍경으로 선정하는 논의에 초점을 맞췄다. 일본의 국가풍경에 대한 담론에서 다무라 쓰요시(1890-1979)와 같은 전문가들은 금강산이 식민지 조선의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될만한 충분한 풍경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조선총독부 산림부는 1930년과 1931년에 금강산국립공원 지정을 위한 일련의 예비적 행정 절차를 취했다. 이 과정에서 조선총독부는 중앙집중화(centralization)와 영역화(territorialization)를 통해 일본제국의 ‘국가풍경’으로서 틀짓기(framing)하였다. 이러한 국가/제국-자연의 구성 과정은 일본제국의 영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할린-대만-조선-만주’의 풍경 속에 금강산을 위치시키는, 즉 일본제국-금강산의 생산 과정이다.

영문 초록

The Japanese Empire appropriated Mt. Geumgang as part of its “national landscape” by introducing a modern view of landscape and the national park system to colonial Korea. This article examines the appropriation within the context of designating selected landscapes of Japan’s inner and outer territories as Japanese national parks. Specifically, it looks at how the Japanese discourses on national landscape influenced the selection of the landscape of national parks, with a focus on the discussions concerning designating Mt. Geumgang as a Japanese national park. In the discourses on the national landscape of the Japanese Empire, Japanese experts such as Tamura Tsuyoshi (1890-1979) argued that Mt. Geumgang had a landscape sufficient to be designated as the first national park in colonial Korea. In particular, in 1930 and 1931, the Forestry Department of Government-General of Korea (GGK) undertook a series of administrative measures to designate Mt. Geumgang National Park. In the process, the GGK centralized and territorialized Mt. Geumgang, framing it as a “national landscape” of the Japanese Empire. Yet the framing was associated with situating Mt. Geumgang within the landscapes of “Sakhalin-Taiwan-Korea-Manchukuo” that constituted the territorial network of the Japanese Empire.

목차

1. 들어가며
2. 국립공원과 ‘국가/제국-자연’ 생산에 관한 이론적·개념적 접근
3. 일본제국의 국립공원과 ‘국가풍경’의 생산
4. 일본제국의 ‘국가풍경’으로서의 금강산 생산 과정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영(Jiyoung Kim). (2021).일본제국의 ‘국가풍경’으로서의 금강산 생산. 문화역사지리, 33 (1), 106-133

MLA

김지영(Jiyoung Kim). "일본제국의 ‘국가풍경’으로서의 금강산 생산." 문화역사지리, 33.1(2021): 106-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