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구원의 양상

이용수 218

영문명
A study of aspects of salvation in the novels of Kim Dong-ri: Focusing on Munyeodo and Ulhwa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조구호(Jo Guho)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1권 5호, 269~29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구원의 양상과 그 의미를 「무녀도」와 『을화』를 중심으로 고찰했다.1936년 발표된 원작 「무녀도」에서는 구원의 양상은 모화가 자기자신을 구원하는 것으로 드러난다.모화는 무속신앙을 믿고 숭배하는 사람들을 재앙과 고난으로부터 구원해 주어야 할 신령님의 대리자인데 자기 자신을 구원함으로써기독교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지 않는다.1947년 개작되어 발표된 「무녀도」에서는 구원의 양상은 혼선을 빚는다.구원의 상징인 낭이가 말을 하게 되는 것이모화의 굿 때문인지 욱이가 남긴 『신약전서』 때문인지 분명하지 않다.1963년 개작되어 발표된 「무녀도」에서는 모화의 굿이 영험을 나타내어 낭이가 말을 하게 되는 구원의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기독교에 대한 무속의 승리를 보여주는 양상을 띤다.그런데 모화의 굿으로 말문이 열리는 낭이의 모습은 무속의 승리라는 작가의 의도와,낭이의 그림 솜씨에 의해 모화의 춤이 예술로 승화되어 그림 ‘무녀도’가 전해졌다는 내용이 중첩되어 낭이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이 일어난다.「무녀도」를 근간으로 창작된『을화』에서는 구원의 상징인 월희의 말문이 열리는 것은 영술이 집에 와서 함께 생활함으로써 가능해지는데,그것은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 구원이 가능하다는 작가의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다.이러한 구원의 양상과 변모는 민족 고유의 무속신앙이 기독교에 대응하여 궁극적으로는 승리한다는 작가의 주제의식의 강화이며,보다 완벽한 작품에 이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s of salvation and the meaning of it in Kim Dongri s novels Munyeodo and Ulhwa . In the original edition of Muyeodo , released in 1936, the pattern of salvation is revealed when Mo-hwa rescues herself. Mo-hwa, the representative of the Divine Spirit, must save people who believe in shamanism and religions from disaster and suffering, but cannot respond to Christianity by saving herself. In the 1947 edition of Muyeodo , the aspects of salvation cause confusion because it is unclear whether Nang-yi, the symbol of salvation, speaks because of the exorcism of “Mo-hwa” or the New Testament left by Yuk-yi. In the 1963 edition of Muyeodo, the exorcism of Mo-hwa represents spirituality and presents the salvation of Nang-yi. signifying the victory of shamanism over Christianity. However, after the death of “Mo-hwa,” Nang-yi is portrayed as a person with excellent painting skills, causing confusion in her identity. In the novel Eulhwa, which is based on Muyeodo, Wolhee, the symbol of salvation, can speak when Young-sul comes home and they live together. It shows the author s perception that salvation is possible through relationships with people. These aspects and variations of salvation are the strengthening of the writer s sense of subject that ethnic shamanism ultimately wins in response to Christianity, and are part of his efforts to reach a more perfect work.

목차

1. 머리말
2. 작가의식과 구원의식
3.「 무녀도」의 개작과 구원의 양상
4.『 을화』와 현실적 구원
5.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구호(Jo Guho). (2020).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구원의 양상. 리터러시 연구, 11 (5), 269-294

MLA

조구호(Jo Guho).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구원의 양상." 리터러시 연구, 11.5(2020): 269-2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