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자간 안보협력과 군비통제의 모색

이용수 56

영문명
Exploring th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and the Military Control in Korean Peninsula : Focusing on Theories and European Experiences
발행기관
한국세계지역학회
저자명
이정우(Lee, Jeongwoo)
간행물 정보
『세계지역연구논총』제36집 제3호, 105~13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유럽안보협력기구(CSCE/OSCE)의 제도화된 규범체계에 대한 검토를 통해, 탈냉전의 새로운 체제구축 과정에서 유럽지역의 다자간 안보협력과 군사통제 거버넌스가 어떻게 작동하였고, 또한 이러한 효과가 이론적으로 어떻게 적용되었고 해석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모델로서 어떤 기능을 하는가에 대해 알아본 것이다. 여기에서 가장 주목하는 부분은 과연 각국의 국가이익에 대한 현실주의적 이기주의를 어떻게 극복하면서, 공동의 안보를 평화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차원과 병존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대목이다. 주권 개념의 오랜 신성함과 배타성은 여전히 유지되는 가운데, 글로벌 거버넌스의 다자간 안보협력은 그 형식에 있어서 전쟁을 회피하고 평화를 추구하는 관련 국가들의 안보이해를 공동의 협의과정을 거쳐 제도적인 합의를 기반으로 추구한다는 점에서 큰 특징을 가진다. 이 점은 헬싱키 프로세스의 긍정적 경험을 바탕으로 1990년대를 전후한 유럽 사회주의국의 체제전환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안보위협 상황을 제도적 틀 속에서 어떻게 완화하고 그러한 경험을 강화해 나갔는지를 통해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다자간 안보협력은 단순히 무력충돌을 방지하는 차원이 아닌, 군비의 공동 관리와 그 과정에서 만들어진 신뢰 및 그것을 바탕으로 하는 미래에 대한 비전을 공유할 때 그 실효성이 배가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적으로 유럽을 경험을 제도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넘어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을 제도적·현실적으로 완성하기 위해서는 협정을 만드는 과정에서의 평화에 대한 신념의 공유와 진지함 그리고 실천과정에서의 다양한 신뢰구축조치(CBM)의 확보와 그것의 공고화를 통한 미래비전의 공유가 동북아 평화협력체제의 성공을 위한 열쇠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how to build up th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and the military control in Korean Peninsula through European experiences of CSCE/OSCE with reviewing related theories. The questioning point of this paper is how each country could set its position to accept both realistic national interests and liberal/constructivist common goals in security area. The Multi-lateral Security as a global governance emphases that countries cooperate each other for peace-making based on institutional consent whereas realistic security supporters still put the exclusiveness of sovereignty at the first. The ‘Helsinki Final Act’ of 1975 is the best example for understanding th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and the military control. The Multi-lateral security will function as much as twice when common management of the military, trust, and co-bearing the peaceful vision of future, not only for avoiding military crashes. Therefore, it would be a key step to have the earnestness and the common principle for peace, to make CBMs and its consolidation for Korean Peninsula Peace System.

목차

I. 서론
II. 다자간 안보협력을 바라보는 여러 시각들
III. 헬싱키 협정의 10대 지도원칙과 안보협력의 가능성
IV. 군사적 신뢰구축과 군비통제의 문제
V. 결론: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우(Lee, Jeongwoo). (2018).다자간 안보협력과 군비통제의 모색. 세계지역연구논총, 36 (3), 105-130

MLA

이정우(Lee, Jeongwoo). "다자간 안보협력과 군비통제의 모색." 세계지역연구논총, 36.3(2018): 105-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