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화협정의 유형에 따른 한반도 평화체제의 경로

이용수 36

영문명
Paths to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Peace Agreement Types
발행기관
한국세계지역학회
저자명
황수환(SooHwan Hwang)
간행물 정보
『세계지역연구논총』제35집 제2호, 61~8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북아 주변국가들의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입장을 보면 한국과 미국은 ‘선 핵폐기, 후 평화협정’을, 북한은 ‘선 평화협정, 후 핵폐기’를, 중국은 ‘병행추진론’을 주장하고 있다. 평화협정의 체결 유형과 속성을 볼 때 하나의 공식적인 평화협정으로 분쟁이 종결되기보다는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협정들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평화협정을 체결 당시의 상황과 조건에 따라 예비적 기초협정, 실질적 기본협정, 보완적 이행협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선 핵폐기, 후 평화협정’을 보면, 예비적 기초협정에서는 북한의 핵관련 모든 시설이 폐기되는 절차에 합의한다. 실질적 기본협정에서는 핵폐기를 확인하고 포괄적인 형태의 한반도 평화협정이 체결되며, 보완적 이행협정에서는 북한 핵폐기의 이행과 검증 절차에 합의하고 한반도의 평화정착을 위한 각종 후속 사안을 합의하게 된다. ‘선 평화협정, 후 핵폐기’를 보면, 예비적 기초협정에서는 정치⋅군사적 신뢰구축과 북미 관계정상화 등의 합의와 함께 북한의 핵폐기 의지를 확인하게 된다. 실질적 기본협정에서는 북핵폐기 절차에 합의하여 한반도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보완적 이행협정에서는 북핵폐기에 대한 제반 이행사항에 대해 합의한다. ‘병행추진론’을 보면, 예비적 기초협정에서는 관련국 간 비핵화와 평화협정의 병행추진에 합의하고, 북한의 핵시설 동결과 한미군사훈련 폐지를 맞교환할 수 있다. 실질적 기본협정에서는 북핵폐기와 한반도평화협정 체결을 동시 병행 추진하는 합의를 하게 되며, 보완적 이행협정에서는 실질적 기본협정의 합의사항에 대한 이행사항을 점검하고 보완하는 합의를 한다.

영문 초록

The respective positions of key Northeast Asian actors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a peac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are as follows: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dvocate “denuclearization first, peace agreement second,” North Korea calls for “peace agreement first, denuclearization second,” and China proposes “parallel track” efforts. However, a close examination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eace agreements reveals that it is rare for a single formalized agreement to bring an end to conflict. Rather, conflicts are most often resolved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involving a constellation of agreements. In view of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peace agreements can be variously classified as preliminary base agreements, substantive basic agreements, and supplementary implementation agreements. The “denuclearization first, peace agreement second” pathway would involve deactivating all nuclear-related facilities in North Korea through a preliminary base agreement. A substantive basic agreement would then confirm this deactivation and reach a comprehensive peninsula-wide peace agreement. Finally, the parties would use a supplementary implementation agreement to establish the implementation and verification procedures for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as well as to reach agreement on the various follow-on efforts needed to consolidate peace on the peninsula. As for “peace agreement first, denuclearization second,” a preliminary base agreement would involve political and military trust-building and normaliz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the confirmation of Pyongyang’s resolve to denuclearize. The substantive basic agreement would then establish the procedures needed for denuclearization and the signing of a peach treaty, and the supplementary implementation agreement would be used to reach consensus on the specific tasks required for denuclearization. Finally, the “parallel track” pathway would first require a preliminary base agreement affirming the parties’ determination to simultaneously pursue denuclearization and peace agreement, and which would perhaps involve a trade-off between a freeze on North Korean nuclear installations and a moratorium on ROK-US military exercises. A substantive basic agreement would then formalize the agreement to implement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and a peninsular peace agreement,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which would be verified and amended through a supplementary implementation agreement.

목차

Ⅰ. 서론
Ⅱ. 평화협정의 개념 및 유형
Ⅲ.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쟁점과 경로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수환(SooHwan Hwang). (2017).평화협정의 유형에 따른 한반도 평화체제의 경로. 세계지역연구논총, 35 (2), 61-81

MLA

황수환(SooHwan Hwang). "평화협정의 유형에 따른 한반도 평화체제의 경로." 세계지역연구논총, 35.2(2017): 6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