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춘천 시민의 이념적 성향

이용수 18

영문명
Ideological Inclination of Chuncheon Citizens : Characteristics, Prospects and Its Influence on Political Attitudes
발행기관
지역사회학회
저자명
김원동(Kim, Won-Dong)
간행물 정보
『지역사회학』지역사회학 제21권 제3호, 39~7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춘천 시민의 이념적 성향의 변화와 특징 및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 그러한 이념적 성향이 정치적 태도에 어떤 유의미한 차이를 유발하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해 보는 데 있다. 여기서는 이를 위해 레이코프의 프레임 논의를 주된 이론적 논거로 삼았고, 말미에서는 이번 연구에 내재된 일반적인 이론적 함의와 그것이 후보나 정당의 향후 선거 전략에 주는 실천적 함의를 도출해 보고자 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20여 년 사이에 춘천에서는 자신을 보수적 또는 진보적 성향이라고 인식하는 시민의 비중이 모두 이전보다 다소 감소했고, 중도적 성향의 시민은 좀 더 증가해 전체 시민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춘천 시민 중에는 예나 지금이나 다른 춘천 시민의 이념적 성향은 보수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흥미롭게도 자신은 진보라고 인식하는 사람이 훨씬 더 많다. 셋째, 춘천 시민의 향후 이념적 성향에 대해서는 ‘지금과 비슷한 상태’일 것으로 전망하는 시민이 가장 많으면서도 보수보다는 진보 성향으로 변화할 것으로 보는 시민이 훨씬 더 많았다. 넷째, 진보적 성향의 시민은 지지 후보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중도적 또는 보수적 성향의 시민보다 각각 소속정당을 더 중요시했고, 후보의 인지도나 주위의 평가 측면에서는 그 반대로 보수적 성향의 시민이 중도적 또는 진보적 성향의 시민보다 그러한 요소를 더 중시하는 정치적 태도를 보였다. 다섯째,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과 같은 공약에 대해서는 진보적 성향의 시민이 중도적 성향의 시민보다 지역의 미래 발전을 위해 이를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서면대교와 같은 공약의 경우에는 보수적 성향의 시민이 중도적 성향의 시민보다 이를 더 중시하는 정치적 태도를 보였다. 여섯째, 향후 선거전의 공적 담론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각 정당과 후보는 춘천 시민의 마음속에 내재해 있는 자신들에게 유리한 이념적 성향의 프레임을 활성화하는 일에 주력함과 동시에 중도 성향의 유권자들을 자신의 프레임으로 끌어들이는 전략을 적극 강구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in the ideological inclination of Chuncheon citizens and prospects of such a inclination. With thi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empirically what significant differences it may cause in citizens’ political attitudes. To achieve this purpose, I relied on Lakoff’s frame discussion as main theoretical background. In the final section of the paper, I also tried to elicit the general theoretical implications inherent in this research and their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future election strategies of competing candidates and parti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ast 20 years or so, the percentage of citizen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conservative or progressive has declined slightly in Chuncheon, but moderate citizens have expanded a little bit, taking up half of all Chuncheon citizens. Second, there are interestingly as many citizens as ever who think that the ideological inclination of other Chuncheon citizens is conservative, but their own inclination is progressive. Of course, the number of the latter is far greater than the former. Third, the largest number of Chuncheon citizens predicted that the future ideological inclination of Chuncheon citizens would be ‘similar to the present inclination.’ Comparing the conservative with the progressive inclination, predictions that ideological inclination of Chuncheon citizens might be changed into the progressive than the conservative were much more than the reverse. Fourth, when Chuncheon citizens selected their candidate for support, candidates’ political party affiliations were regarded as an more important criterion among progressive citizens than moderate or conservative citizens. On the contrary, candidates’ recognition or general assessment of a candidate was rated as relatively more important factors among conservative citizens than moderate or progressive citizens. Like this, Chuncheon citizens showed different political attitudes in these several aspects. Fifth, the idea that pledg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a recall system of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would be important for Chuncheon’s future development was stronger among the progressive citizens than the moderate citizens. However, in the cases of pledge such as the Seomyeon Bridge, conservative citizens than moderate citizens supported them a little more strongly. Sixth, in the process of forming public discourse for elections in the future, political parties and candidates should concentrate on activating ideological frames in the minds of Chuncheon citizens in favour of their own frames, actively making strategies to attract moderate voters into their own frame at the same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논의와 연구방법
Ⅲ. 춘천 시민의 이념적 성향의 변화와 특징
Ⅳ. 춘천 시민의 향후 이념적 성향에 대한 전망
Ⅴ. 춘천 시민의 이념적 성향과 4·15 국회의원선거에서 중시했던 기준들
Ⅵ. 춘천 발전을 위한 4·15 국회의원선거 공약의 중요도
Ⅶ. 토의 및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원동(Kim, Won-Dong). (2020).춘천 시민의 이념적 성향. 지역사회학, 21 (3), 39-73

MLA

김원동(Kim, Won-Dong). "춘천 시민의 이념적 성향." 지역사회학, 21.3(2020): 39-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