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대학생활만족과 직장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이용수 292

영문명
An Exploration of Factors Affecting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Among Young People Experiencing School-to-Work Transition Period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김현주(Kim, Hyunjoo) 손은령(Son, Eunyoung)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9권 제2호, 57~8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대학생활과 직장만족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증진 방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청년노동시장 및 학교생활의 대표통계를 제공하는 청년패널 2007(YP2007)의 9차(2015)년도와 12차(2018)년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 진로계획과 같은 정서·인지·행동적인 다양한 변인 간의 관계에서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간접적으로 대학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이 직장만족도에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대학생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이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직장인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은 직장만족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시기의 진로관련 변인과 대학생활만족이 직장인 시기의 직장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활과 직장만족의 영향요인 검토를 통해 대학생 시기의 대학생활만족 정도에 따라 직장인 시기의 직장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정서·인지·행동적 특성을 고려하여 진로교육이 선행되어야함을 확인하고 나아가 대학생활만족을 위한 진로교육프로그램 운영과 대학의 역할, 상담적 개입의 중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llege life and work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experiencing school-to-work transition periods and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promotional plans. For thi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data from the 9th year (2015) and 12th year (2018) of the Youth Panel 2007 (YP2007) from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EIS) that provides representative statistics of the youth labor market and school lif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er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in relationships among various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variables such as negative self-concepts, career self-efficacy,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planning during the college period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negative self-concepts, career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values of the working period positively or negatively affect work satisfaction. In particular, negative self-concepts during the college period do not significantly affect college life satisfaction, but negative self-concepts during the working period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work satisfaction. Third, career-related variables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college period were shown to have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work satisfaction during the working perio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at work satisfaction during the working period may differ depending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college period by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nd work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career education must be provided first in consideration of the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Furtherm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the roles of universities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management for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counseling interv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주(Kim, Hyunjoo),손은령(Son, Eunyoung). (2021).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대학생활만족과 직장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열린교육연구, 29 (2), 57-86

MLA

김현주(Kim, Hyunjoo),손은령(Son, Eunyoung).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대학생활만족과 직장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열린교육연구, 29.2(2021): 57-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