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삼총통(三銃筒)의 특징과 현황

이용수 119

영문명
Its Overview and Characteristics of Hand Cannon(Sam Chong tong) in the Joseon Period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김선(Kim, Seon)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33호, 217~25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삼총통(三銃筒)은 조선전기 세종대 제작되어 중기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본고에서 설명하려는 삼총통의 명문에는‘감련(監鍊), 감련관(監鍊官)’이라는 관직명이 등장하고 있어 조선전기에 시행된 감련관 제도와 함께 살펴보았다. 세종대에는 1445년(세종 27)부터 1453년(단종 1)까지 9년 동안 감련관 제도가 실시되어 북방 국경지대에서 남방 해안지대까지 방어를 대비하였다. 이렇게 파견된 감련관의 임무는 화포군(火砲軍)을 훈련시키고, 삼총통(三銃筒)을 비롯한 병기(兵器) 제조를 감독하는 것이다. 품계는 종3품 이상의 대호군(大護軍)으로 고위관직자 가운데 선정되었으며, 또한 화포교습에 소홀한 지방관을 감독할 수 있는 권한도 부여되었다. 이러한 감련관 제도와 관련된 기록을 문헌과 함께 현존하는 실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 소장한 ‘삼총통’에는‘감련관 한서룡 장인 칙금이 만들었다.[三銃筒 監鍊官 韓瑞龍 匠人 則金 造]’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명문에 적힌 인물인 한서룡은 세종대 무신(武臣)으로 1444년(세종 26)에 고급지휘관인 종3품 대호군(大護軍)으로 감련관 임무를 맡아 전라도 지역에 파견되었다. 따라서 문헌과 현존 실물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서룡은 이 지역에 총통군에게 화포를 사격하는 훈련을 실시하는 한편, 총통개주작업을 감독한 사실도 미루어 알 수 있다. 또한 이 명문이 새겨진 삼총통은 전라남도 신안군 해안가에서 발견된 정황으로 해양 방어에 사용된 무기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렇게 삼총통에 남아 있는 명문은 제작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넓게는 북방의 국경에서 남방의 해안까지 국토와 백성을 전쟁으로부터 지켜내려는 국왕 세종의 정책들을 엿볼 수 있는 의미가 담겨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Sejong’s reign had the “Gamryanggwan” system from 1445 (the 27th year of King Sejong s reign) to 1453 (the 1st year of King Danjong s reign) to prepare for defense from the northern border to the southern coastal area. The mission of the sent inspection officer is to train the artillery and supervise the manufacture of the Handcanon(Sam chong tong) and other weapons. Dignity was selected from among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as Daehogun with three or more classifications, and was also given the authority to supervise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neglected to teach at gunpoint. Records related to these sensitivities remain not only in the literature but also in existing artifacts. The inscription of The Handcanon(Sam chong tong) kept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shows the record that It was directed by Gamryeongwan Han Seo-ryong and made by a craftsman. As a Gamryeongwan, Han Seo-ryong, a well-known figure of King Sejong’s reign was dispatched to the Jeolla Provincial in 1444 (the 26th year of King Sejong s reign) to conduct training on gun fire and to supervise the opening of the gun. The discovery of the artifact on the coast of Sinan-gun, Jeollanam-do, also suggests that it is related to maritime defense. Based on the remaining literature in the barrel, the production dates can be identified, and the inscriptions of the Handcanon(Sam-chong-tong) at the National Maritime Museum show King Sejong s policies to protect the land and people from war from the northern border to the southern coast.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시대 총통 제작 추이
Ⅲ. 삼총통(三銃筒)의 특징과 현황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Kim, Seon). (2020).조선시대 삼총통(三銃筒)의 특징과 현황. 이순신연구논총, (33), 217-256

MLA

김선(Kim, Seon). "조선시대 삼총통(三銃筒)의 특징과 현황." 이순신연구논총, .33(2020): 217-2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