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석기시대 따비의 기술체계

이용수 102

영문명
Neolithic Technology system of weederplow : based mainly on Han river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김영준(Kim, Young Jun)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40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신석기시대 대표적인 뗀석기인 따비의 생산·소비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기술적 활동과 그 기술-경제적 배경을 살펴, 입지 환경에 따른 따비의 기술체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선행 연구들은 대체로 따비를 형태별로 분류하여, 그 형태 분류에 따른 기능, 지역성, 변천 과정 등에 대한 설명에 치중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 분류는 석기를 객관적으로 기술(記述)하여 따비를 하나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게 하였으나, 따비의 제작·사용·재활용 과정에서 나오는 구조적 메커니즘, 즉 신석기 사람들의 다양한 기술 활동을 소홀히 다루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특히 이 글의 대상 지역인 한강 유역에서는 유적이 위치한 충적지와 구릉지에 따라 출토되는 따비의 기술적 차별성이 명확하게 구분되고 있어, 기존 형태 분류를 통한 연구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다. 암사동으로 대표되는 충적지 유적들과 운서동 유적으로 대표되는 구릉지 유적들의 출토 따비는 제작 때 돌감 및 밑감 선택이 다르고, 떼기 기술도 다르게 베풀어졌다. 따비의 쓴자국 분석 결과도 양 지역 간의 차이가 확인되어 주목된다. 이러한 입지 환경별 따비의 기술적 활동은 따비 사용 방법, 기능, 유적으로 흘러들어온 돌감유입 배경 등 입지 환경의 다양한 변수들에서 기인하였다고 판단된다. 글쓴이는 이 글이 일반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따비=굴지구=농경이라는 해석을 넘어 다양한 접근을 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plains the technical differences of manufacturing weederplow derived from residential sites located in alluvion or hill areas, and then tries to approach the reason why these differences are made. Neolithic residential sites are confirmed, which are located in alluvion or hill areas of main river valley in Hangang river, and weederplow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remains from the sites. However, according to the precedent studies, they did not pay attention to various technical aspects of weederplow becaus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the main point. Amphibolite and tuff that have densed and undelveloped surface, were used to make weederplow from Amsadong,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remains in alluvion areas and schist that has developed surface, was used to make weederplow from Unseodong,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remains in hilly areas. In case of Amsadong, flake was used to make weederplow and in Unseo case, debris was used as the raw material. These technical differences could be made by method of use depending on geographical conditions, in other words, With or without mounting is the key. Amsadong weederplow from alluvion areas might be used without equipment, but Unseo weederplow might have the purposed to be equipped with wood and it could be show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목차

Ⅰ. 머리말
Ⅱ. 기술체계와 작업 연쇄 공정(chaîne opératoire)
Ⅲ. 대상 유적과 따비 현황
Ⅳ. 작업 연쇄 공정으로 본 입지 환경별 따비의 기술적 차별성
Ⅴ. 기술체계의 변수들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준(Kim, Young Jun). (2020).신석기시대 따비의 기술체계. 한국신석기연구, (40), 1-26

MLA

김영준(Kim, Young Jun). "신석기시대 따비의 기술체계." 한국신석기연구, .40(2020):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