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무르강 하류역의 출현기 토기 연구

이용수 69

영문명
A study of the Earliest pottery in the lower Amur River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장은혜(Jang, Eunhye) 福田正宏(Fukuda, Masahiro)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40호, 63~9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아무르강 하류역의 토기 출현기에 해당하는 오시포프카문화의 토기형식의 특징과 전개에 대해 검토했다. 갸샤, 훔미, 오시노바야 레치카10, 노보트로이츠코예10, 곤차르카1유적 출토 토기군에 대한 세밀한 관찰조사를 실시하고, 기종, 기형, 제작기법(성형, 기벽 두께, 정면), 문양의 측면에서 형식내용을 살펴봤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에 기초하여 오시포프카문화 토기를 Ⅰ~Ⅵ군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오시포프카문화 유적군에서 보고된 탄소14연대치의 분포 경향과 토기 조성을 비교하고, 오시포프카문화 토기군의 시간적 선후관계와 변천과정에 대해 고찰했다. 그 결과, 약 3000년이라는 연대폭을 가지는 오시포프카문화기는 1~3단계의 토기형식의 변천을 거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1단계는 Ⅰ군(무문)의 시기이다. 평저 발형토기가 기본을 이루고, 편평한 구순부와 두터운 기벽이 다수를 차지한다. 외면에 종방향의 거친 조흔이 베풀어진 무문토기가 주체를 이룬다. 약 12,500 14C BP보다 이른 시기이다. 2단계의 토기군에는 Ⅱ군(다치 압날문), Ⅲ군(다·단치 압날문)이 다수, Ⅳ군(승문)이 소량 포함된다. 내완 굴곡형 발과 천발이 출현하고, 기종 구성이 다양화된다. 둥근 구순부와 기벽이 얇은 토기가 증가한다. 조흔 정면은 1단계에 비해 정연해지고, 종방향에서 횡·사방향으로 변화한다. 약 12,000~10,500 14C BP의 시기에 해당한다. 3단계에는 Ⅳ군이 증가하고, 지그재그 다치 압날문이 추가되어 문양이 한 층 다양화된다. 시문기법과 정면에서Ⅰ~Ⅳ군과 크게 다른 Ⅴ군(융기문)·Ⅵ군(융기문+승문)이 새롭게 출현한다. 외반 굴곡형 발이 추가되어, 2단계의 기종구성이 더욱 다양화된다. 편평한 구순부가 감소하고 뾰족한 구순부가 등장하며, 두터운 기벽이 소량으로 감소하고, 얇은 기벽이 다수를 차지한다. 약 10,500~10,000 14C BP의 시기에 해당한다. 결과적으로, 오시포프카문화는 1단계에서 3단계까지 평저, 외경 접합 제작, 조흔 정면, 압날시문이라는 장기적인 토기제작 전통을 지속한다. 이러한 전통을 지속하는 가운데 기종과 문양이 다양화되고, 구순부가 평편한 것에서 둥글거나 뾰족한 것으로 변화하고, 기벽이 얇아지고, 조흔 정면이 거친 것에서 정연한 것으로 변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the pottery of the Osipovka culture, which is the period when pottery appeared in the lower Amur River. A detailed observation and survey were conducted on the pottery excavated from the sites of Gasha, Khummi, Osinovaya Rechka10, Novotroitskoe10, and Goncharka 1. In addition, the content of each type was clarified from the aspect of the form, shape, manufacturing technique (shaping, thickness, surface finishing) and pattern.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pottery of the Osipovka culture was classified in to groups I to VI. Next, we compared the distribution tendency of the 14C dates and pottery composition reported in the Osipovka culture sites and considered the temporal sequence and transition process of the Osipovka culture pottery group.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1 to 3 stages of changes in the pottery type during the Osipovka culture period, which has a period width of about 3000 years. The first stage is the period of group I (undecorated). Flat-bottomed pottery is the basis, and most of them have thick walls with flat lips. Most of them are undecorated pottery, which have a rough vertical incised line on the outer surface. It is positioned older than approximately 12,500 14C BP. The second stage contains a large number of group II (comb-toothed pattern) and group III (comb-toothed and impressed pattern), and a small amount of group IV (cord marks). Incurved rim bowl with a bending part and shallow bowls emerge, and the composition of forms is diversified, and round lips and thin walls increase. The incised lines becomes finer than in the first stage and changes from vertical to horizontal and oblique. It corresponds to the period of about 12,000 to 10,500 14C BP. In the third stage, group IV increase, zigzag comb tooth patterns are newly added, and patterns become more diverse. Group V (raised linear pattern) and Group VI (raised linear pattern + cord marks), which are very different from Ⅰ~Ⅳ group in terms of decoration techniques and surface finishing, newly appear. Flared rim bowl with a bending part is added, which further diversifies the composition of the second stage form. Flat lips reduce and sharp lips appear. The thick walls reduce to a small number, and the thin walls become usual. It corresponds to the period of about 10,500 to 10,000 14C BP. From the above discussion, it can be pointed out that in the Osipovka culture, from the first stage to the third stage, the traditions related to long-term pottery production such as flat bottom, outer oriented-joining technique, surface finishing of incised lines, and impressing were continued.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forms and patterns of diversification have changed, and the lips have changed from flat to round or point, the thickness has become thinner, and the incised lines have changed from rough to fine.

목차

Ⅰ. 머리말
Ⅱ. 아무르강 하류역의 출현기 토기 연구경과
Ⅲ. 오시포프카문화의 토기 분류
Ⅳ. 오시포프카문화의 전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은혜(Jang, Eunhye),福田正宏(Fukuda, Masahiro). (2020).아무르강 하류역의 출현기 토기 연구. 한국신석기연구, (40), 63-94

MLA

장은혜(Jang, Eunhye),福田正宏(Fukuda, Masahiro). "아무르강 하류역의 출현기 토기 연구." 한국신석기연구, .40(2020): 63-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