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제주 목민관 비석(군)의 현황과 분석

이용수 210

영문명
A Study of Practical Use and Investigation of Governor Steles of Jeju Island in Joseon Dynasty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홍기표(Ki-pyo Hong)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45권, 1~3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8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시대 제주 목민관 비석(군)에 대한 실태조사와 그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2013년~2014년, 2년여에 걸쳐 제주 전역의 목민관 비석(군)에 대해 현지조사를 통해 목민관 비석(군)의 총량을 파악하였으며, 그에 대한 각급별(직위별, 수량별, 인물별, 시기별, 소재지별 등) 비교 분석을 이루였다. 그 결과 현재 제주도 전역 산재해 있는 목민관 비석은 총 69명, 14871 이다. 목민관 비석의 직위별 인원 및 수량은 다음과 같다 목사 36 명 (106기), 판관 9명 (14기), 현감 9병 (13기), 군수 5명 (5기), 만호 5명 (6기), 어사 2명 (3기), 기타 3명 (3기)이다. 또한 총 14871 중 1인 271 이상은 23명으로 총 102기 이고 1 인 1기는 46명 46기이다. 현재 가장 많은 수의 비석이 남아 있는 목민관은 순조 때의 윤구동 목사(총 13기)이며, 고종 때의 양헌수 목사(총 10기)가 그 다음이다. 또한 가장 오래된 것은 1641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심연 목사비(화북비석거리)이며, 1652년의 김수익 목사비(조천 비석거리), 1662년의 권극중 현감비(대정향교)가 그 뒤를 잇는다 목민관 비석의 건립연대는 총 148기 중 85%에 해당하는 126기 가 19C에 건립되었다. 목민관 비석(군)은 총 38장소에 분포되어 있다 271 이상의 비석(꾼)은 27장소로 137기 가 있으며, 1기 비석이 소재한 곳이 11장소 11기이다. 가장 많은 곳은 화북비석거리(1271)이며, 제주목관아, 제주향교, 자연사박물관의 비석(군)이 각각 11기로 그 뒤를 잇는다 제주시에 127기, 서귀포시에 21기가 소재하고 있다. 이툴 비석(군)은 대체로 다음의 다섯 가지 이유로 비석거리가 조성되었다. 첫째, 육지와 제주를 이어주는 관문. 둘째, 읍성 입구와 관아 및 교육기관. 셋째, 유적과 명소 넷째, 군사적 요충지인 방어 진지. 다섯째, 제주 전역을 순시하기 위한 교통 요지인 원(院)이였다. 목민관 비석(군)의 비제 호칭은 총 44종으로 불리고 있었는데, 가장 많은 호칭은 휼민선정비 (22기), 선정비 (21기), 거사비 (19기) 등이었다. 비제는 크게 선정비류(121기), 권학비류(l6기), 기념비류(8기)의 세 종류로 구분된다. 비문의 상태는 대체로 마모가 심하여 현재 파약이 가능한 비석이 총148기 중 72기로 파악되었다. 이 중 산문의 형태로 비음(음기)이 새겨진 목민관비는 571 에 불과하며, 나머지 67기는 4언 둥의 운문으로 목민관 치적을 새겨 놓고 있다. 특히 4언 4구 형식이 절반이 넘는 42기로 다수이다. 비문의 내용은 청렴 공정 및 폐단 척결 의 일반적인 선정을 칭송하는 문구가31기, 흉년 등을 당해 조세 감면 , 재정 출연 , 진휼 등을 칭송한 문구가 23기가 있어 다수를 차지한다. 즉 선정과 민생안정에 기여한 수령송덕비가 총 53기 건립되고 있다. 한편 명소(삼성혈) 보수ㆍ지원 7기, 향교이건ㆍ건립 5기 등 수령기념비가 총 12기이며, 그밖에 흥학 4기 등이 있다. 금석문은 1차 사료로 문헌 사료를 보완하는 학술규명은 물론 인문자원으로서 그 활용가치가 매우 크다. 따라서 향후 제주도내 산재한 전근대 시대적려유허비, 효열 정려비, 각종 기념비, 입도조(入島祖) 묘비 등 금석문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실태조사와 분석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금석문은 마요 훼손, 멸실 등의 위험을 늘 안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보존 및 보수의 대책도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Currently, it depends heavily on literature materials to research of premodern history of Jeju. However, it is not entirely satisfactory to research on study, supplementation, and investigating fact of history of Jeju according to epigraph materials. Hence, the research has a subject on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Governor Steles of Jeju island in Joseon Dynasty’. Here is a process of the study. First, an on-site inspection and photography of governor steles throughout Jeju over two years. Scondly, a grasp of total amount of governor steles throughout Jeju. Thirdly, comparison analysis classified by each parts(by office, quantity, position, chronology, monument title, and etc.) of governor steles. Finally, rigorous historical research of letters,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the epigraphs. As a result, the total quantity of governor steles are 69 people, and 148 pieces scattered around Jeju today. The quantity and the number of people by position of governor steles are as in the following. Moksa(목사) ; 36(106 pieces), Pankwan(판관) ; 9(14 pieces), ‘Hyunkam(현감)’; 9(13 pieces), Goonsu(군수) ; 5(5 pieces), ‘Manho(만호)’; 5(6 pieces), Uh-sa (어사) ; 2(3 pieces), the others; 3(3 pieces). Furthermore, the number of people who have more than two pieces per person are 23, total 102 pieces(69%) and one piece per person are 46, total 46 pieces(31%) among the total 148 steles. The greatest number of steles remained up to now is of Yoon Gu-dong(윤구동) stele in Soonjo(순조) dynasty. In sequence, Yang hun-su(양헌수) stele (total 10 pieces, 6.8%) in Gojong(고종) dynasty is in the second place, and Ku Jae-Ryong(구재룡) stele and Jang In-sik(장인식) stele in Heonjong(헌종) dynasty are each 8 pieces(5.4%). It is Sim Yeon(삼연) stele(Hwabook group of steles; 화북 비석거리) presumed to be established in 1641 that the oldest one among the governor steles in Jeju lmtil today. It is followed by Kim SU-ik(김수익) stele in 1652(Jocheon group of steles; 조천 비석거리), and Kyon Geuk-joong(권극중) stele in 1662(DaejlIT1g Hyanggyo; 대정향교). The construction age of governor steles is that 126 pieces(85% of the total 148 pieces) had been established at 19th century. Total 148 governor steles are distributed in 38 places. The location where has more than two steles are 27 places with 137 pieces(93%), and where has one stele are 11 places with 11 pieces(7%). Hwabook group of steles is the location with the largest number of steles(l2 pieces), and Jeju Mokgwan-a(제주목관아) , Jeju Hyanggyo(제주향교) , Museill11 of Natural History(자연사 박물관) each with 11 pieces follow it. There are 127 pieces(86%) in Jeju-si, and 21 pieces in Seogwipo-si. These steles have been classified as Monuments group by following five factors. First, a gateway linking between the land and Jeju island Secondly, an entrance of Eup-Seong(읍석) , a government office and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irdly, remains and attractions. Fourthly, a defensive position, a strategic point. Finally, Won (院); a major transportation point to inspect the whole area of Jeju. The appellation of these governor steles has been called in 44 ways. The majority of appellation among these is Hyul-min Seonjungbi(휼민선정비) (22 pieces), and it is followed by Seonjungbi(선정비) (21 pieces), Geosabi(거사비) (19 pieces), and so on. These 44 kinds of appellation of stel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subject. First of all, 선정비류; steles to appredate exemplary govemment (121 pieces). Second of all, 권학비류; steles to encourage of education (16 piec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기표(Ki-pyo Hong). (2016).조선시대 제주 목민관 비석(군)의 현황과 분석. 제주도연구, 45 , 1-38

MLA

홍기표(Ki-pyo Hong). "조선시대 제주 목민관 비석(군)의 현황과 분석." 제주도연구, 45.(2016): 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