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존자암의 창건(創建)에 관한 고찰

이용수 60

영문명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Jonjaam Temple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현문필(Moon Pil Hyun)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35권, 119~157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존자암이 과연 언제부터 볼레오름 자락에 존재했었는가? 의 문제에 대해 관련 문헌자료와 함께 존자암지의 발굴조사에서 수습된 도자기와 명문기와의 검토를 통해서 밝혀보고자 했다. 존자암지에서 출토된 유물을 검토한 결과, 시기적으로 가장 빠른 것은 고려 말에 해당하는 14세기 후반의 청자로 파악되었다. 게다가 아직까지고·양·부 삼성이 생길 때 사찰이 세워졌다는 홍유손의 「존자암개구유인문」에 나오는 창건시기를 뒷받침할만한 탐라시대나 고려시대 전 · 중기의 유물은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존자암지의 상한시기를 14세기 후반으로 추정하여 볼레오름 자락에 존자암이 자리 잡게 되었다면, 그 창건은 14세기 후반 이후에야 가능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여기에서 14세기 후반은 존자암지의 명문기와에 등장하는 김중광 의 두 차례에 걸친 제주만호 부임시기와 시간적으로 일치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되었다. 그런데 김중광은 진주목사 때인 1379년 이후부터 신륵사의 불사 봉행에 있어 당대의 고위관료들과 함께 시주자로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기에 김중광은 두 번째 제주만호 재임기간에도 불교에 대한 관심과 애착은 여전했을 것이며, 존자암지와 수정사지에서 출토된 만호겸목사봉익대부김중광 □□이월수정선사달륜(万戶兼牧使奉翊大夫金仲光 □□二月修正禪師達倫) 의 명문기와는 이때 만들어졌을 것이다. 때문에 김중광이 참여한 존자암지의 불사 봉행은 그의 두 번째 제주만호 재임기간인 1383년부터 1385년 사이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런 사실에 비춰 볼 때 볼레오름의 존자암은 14세기 후반, 즉 김중광의 두 번째 제주만호 부임기간인 1383년 이후에 창건된 사찰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an attempt to answer the question, Since when Jonjaam Temple has been located at the foot of Boleoreum,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ed literature and reviewed the chinaware and inscribed roof tiles recovered in the excavation site of the Jonjaam Temple site. A review of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Jonjaam Temple site indicates that they were celadons the earliest of which were made in the latter half of the 14th century that corresponds to late Goryeo. There was no artifact from Tamra Period or early and middle Goryeo, whill will support the construction period mentioned in 「Jonjaamkaeguyooinmun」by Hong Yoo-Son, who said the Temple was built at the creation of Go, Yang and Bu. Thus it was estimated that the upper limit period of the Jonjaam Temple site was the latter half of the 14th century. If Jonjaam had been located at the foot of Boleoreum around that time, the Temple must have been built only after the latter half of the 14th century. What is noteworthy here is that the latter half of the 14th century corresponds to the service years of Kim Jung-Gwong, who appears in the inscribed roof tiles of the Jonjaam Temple site and was appointed to rule Jejumanho two times. Records show that he started to engage in offering along with other high-rank officials of those days, participating in a Buddhist service at Silleuksa Temple in 1379 when he was Jinjumoksa. It is very likely that his interest in and attachment to Buddhism must have continued during his service in Jejumanho. The inscribed roof Tiles of Manho & Moksabongikdaebu Kim Jung-Gwong □□ Iwolsujeong-seonsadallyun must have been made at that time. Thus it was estimated that the Buddhist service at the Jonjaam Temple site where Kim Jung-Gwong was present must have taken place between 1383 and 1385 when he served Jejumanho for the second time. Considering all those, the Jonjaam Temple of Boleoreum must have been construc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4th century or after 1383 when Kim Jung-Gwong served Jejumanho for the second tim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현문필(Moon Pil Hyun). (2011).존자암의 창건(創建)에 관한 고찰. 제주도연구, 35 , 119-157

MLA

현문필(Moon Pil Hyun). "존자암의 창건(創建)에 관한 고찰." 제주도연구, 35.(2011): 119-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