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도 영선동식토기 연구

이용수 87

영문명
A Study of Yeongseon-dong Style Pottery in Jeju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박근태(Keun Tae Park)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35권, 159~19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선동식토기는 신석기시대 전기단계(B.C. 4,500~3,500)의 남해안 일대에 분포하는 자돌 · 압인 · 압날문토기이다. 제주도 영선동식토기 중 온평리유적, 저류지유적에서 확인된 압인문토기는 끝이 둥글고 넓은 시문구로 장식한 토기로 횡주어골문에서 복합문양, 수직문양 등으로 독특하게 변화한다. 그리고 기형이 호형에서 발형으로 변화하는 등 한반도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없어 제주도식 영선동식토기 라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압인기법의 수직문 · 중복수직문 · 횡주어골문과 수직문의 복합문토기는 호형토기 기형의 횡주어골문토기가 유입된 이래 제주도에서 자체적으로 변화하면서 문양의 간략화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 영선동식토기는 3단계의 전개양상을 보이며 변화한다. Ⅰ단계는 자돌문계토기 중심의 영선동식토기가 유행하고, Ⅱ단계는 횡주어골문토기를 중심으로 하여 구순각목토기가 유행하는 시기이다. Ⅲ단계는 횡주어골문이 퇴화하여 수직문이나 복합문으로 변화하게 되며 구순각목은 단독문에서 복합문으로 변화하고 삼각집선문이나 단사선문, 사격자문의 세침선문이 발달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제주도 영선동식토기는 자돌 압날문토기의 전통 속에서 남해 서부지역과의 교류를 통해 횡주어골문의 호형토기나 발형 토기가 유입되면서 전개된다. 그리고 공반되는 석기조합상은 수렵구는 확인되지 않으며 식료가공구인 갈돌, 갈판, 고석, 석인석기의 비중이 높고 어망추가 확인된다. 따라서 제주도 신석기시대 전기단계 거주집단의 생업경제는 채집활동이 중심이 되고 어망에 의한 어로활동이 부수적으로 행해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Yeongseon-dong style belongs to shaped stemped · stemped · impressed pattern pottery which is distributed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mong Yeongseon-dong style potteries in Jeju, Stemped pattern potteries in Onpyeong-ri and Jeoryuji sites are decorated with round and broad end instruments. Also, they are found only in Jeju varying from herring bone patterns to complex and vertical patterns. Moreover, the shape of the pottery is changed from jars to bowls. The potteries can be named Yeongseon-dong style pottery in Jeju type since the potteries with the unique traits are identified only in Jeju, and the technique of stemped pattern is self-developed in Jeju. It is estimated that the potteries with stemped techniques, vertical·1) duplicated vertical · herring bone patterns, and vertical complex potteries have emerged in Jeju changing autonomously in the simplification process of patterns since the jar-shaped potteries with herring bone pattern adopted. Culture of Yeongseon-dong style pottery in Jeju type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concentrated by pottery with shaped stemped pattern. At the second stage, the pottery with herring bone pattern is representative and the pottery with notched strip on rim is also popular. At the third stage, the pottery with herring bone declines and changes into the pottery with complex or vertical pattern. In conclusion, Yeongseon-dong style pottery in Jeju type spreads out its tradition of shaped stemped · stemped pattern though the interaction of jars and bowls with herring bone pattern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Additionally, assemblage of stoneware, associated with the potteries, is examined ;hunting implements are not discovered; many implements for food processing such as millstone are found ;and one of fishing tools, weight of netting is also identified. Therefore, I believe that people in Jeju Island mainly depend on gathering for a living and fishing by net is incidental during the early Neolithic Ag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근태(Keun Tae Park). (2011).제주도 영선동식토기 연구. 제주도연구, 35 , 159-196

MLA

박근태(Keun Tae Park). "제주도 영선동식토기 연구." 제주도연구, 35.(2011): 159-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