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항선원 고용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38
- 영문명
- Determinants of Seafarers’ Employment Stability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이태휘(Tae-Hwe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4권 제6호, 534~540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승선 환경의 폐쇄성과 이사회성, 선내 규율의 엄격함 등으로 청년들은 선원직을 기피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승선근무예비역제도라는 특수한 제도가 존재해 청년들을 선원직으로 유인하고 있지만, 이 제도마저 존립이 위태롭다. 최근의 선원 고용유형은 선박관리회사로부터 고용되어 선사에 파견되는 비정규직 형태가 대부분이다. 선박관리회사(SM)와 선원 간에 임시 고용계약을 맺고, SM이 선사에 선원을 파견하는 비정규직 고용형태가 유행하고 있다. 선원직 매력도가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도 2018년 발표된 국가 해운재건 5개년 계획에는 선박과 화물의 확보 방안만 담겨 있다. 이 논문의 핵심 내용은 이항로짓모형을 이용해 선원의 고용형태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선원의 최종학력이 고용형태를 결정하는 요소로 나타난 반면, 소속선사 유형, 승선 선종, 소속 선박관리회사 유형, 근무 분야, 해기사 면허 소지 여부 등은 선원 고용형태 결정에 유의미한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Like most developed countries, South Korea is experiencing a severe lack of seafarers. Because young people s demands for a high quality of life has led them to seek shore-based careers. The wage difference between seafaring and shore-based careers has been decreasing gradually, however South Korea s unique Boarding Service Reserve System Policy has helped recruit and retain young sailors and, since 2017, the government has focused on creating new jobs and stabilizing the status of irregular workers in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s. It specifically established the Economic, Social & Labor Council to carefully analyze seafarers’ employment stability, which previously had been overlooked in the country. This research used the Binary Logit Model (BLM)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seafarers employment stability in both permanent and non-permanent positions. We found that seafarers’ employment stability correlated highly with their education level. This means that seafarers who graduated from the above mentioned two maritime universities would have more job stablity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maritime high schools or general universities. Other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shipping company, vessel, hip management companies, work assignment, rank, and license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employment stability.
목차
1. 서 론
2. 현황 분석 및 이론적 고찰
3. 연구의 설계
4. 외항선원 고용형태 결정요인 분석
4. 외항선원 고용형태 결정요인 분석
후 기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잠수함 지원업무 요구일정과 부두 가용자원을 고려한 선석할당계획
-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통합운영 효과 분석
- 항만형 자유무역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FMSS를 이용한 자율운항선박 충돌회피능력 정량화 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 선박의 안전항해를 위한 겨울철 북태평양의 온대저기압에 관한 연구
- 컨테이너 터미널의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항만경쟁력 확보를 위한 적정 도선사 수요산정에 관한 연구
- 외항선원 고용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취급화물별 비용 원단위 추정
- 능동형 펜더 기반의 접안지원시스템 개발 및 실선실험
-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입주업체 특성별 생산성 비교연구
- H선사 파산전후 국적외항선사의 재무비율 차이분석과 영향요인 연구
- 해상교통분석 시뮬레이션을 위한 항해사의 충돌회피 행동분석에 관한 연구
- 공기윤활시스템 적용 선박의 시운전 속도성능에 대한 불확실성 해석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평택·당진항 수입 승용차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 실험 및 수치해석을 통한 LNG 벙커링 선박들의 이접안 안정성 평가 연구
- 선박 배출 오염물질 항만처리시스템 확보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해양공학분야 BEST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평택·당진항 수입 승용차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 크루즈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광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지자체 대응 전략
공학 > 해양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