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립운동 공간의 기억과 기념

이용수 179

영문명
Memory and Commemora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Space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朴慶穆(PARK Kyung-mok)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87집, 71~10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독립운동 공간에 대한 기억은 사건과 인물 중심의 현장에 대한 인식이 보편적이다. 1990년대 전후까지 중앙정부나 일부 기념사업회에 의해서 의도된 기억과 기념화가 일부 이루어졌을 뿐, 일반의 인식 속에 독립운동 공간의 기억은 미진했다. 본격적 관심은 1990년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 복원 문제로 대두되었고, 2002년 국외 독립운동 사적지 조사 사업, 2008년 국내 독립운동 사적지 조사 사업으로 이어졌다. 독립운동 공간에 대한 기념화와 관련하여는 정부가 시행하는 국가보훈처의 현충시설 지정과 문화재청의 문화재 지정 등 두 가지 형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독립과 ‘현충’이라는 개념적 괴리 및 정책적 문제점, 문화재로서 아직 일반화되지 못한 독립운동 공간에 대한 인식이 발견된다. 2000년대 이후에는 독립운동 공간이 독립운동 사적지 라는 측면에서 지방정부의 적극적 주도와 시민들의 현장방문으로 기념화되고 있다. 반면, 공간의 현장성과 접근성 사이에서 균형감 있는 선택도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현장의 보존에 관심을 기울이되 시민들의 접근성이 담보되는 기억의 장치도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베를린의 홀로코스트 기념비 사례에 시사점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기억과 기념은 소수의 권력자나 국가주의, 전체주의 시절의 박제화를 탈피해야 한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은 시민사회의 주체적 움직임에서 나올 수 있다. 정부가 주도하는 특별한 기념 의식이 아닌 시민들의 일상 속 기억과 기념을 통해 공간의 기록과 시간의 역사를 이어가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계에서 독립운동사 연구 성과가 시민사회에 생명력과 대중적 확장성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통해 독립운동 공간은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기억과 기념의 대상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Recogni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space appeared in 1950 but was wiped out by the Korean War. Since then, independence movement space was used politically as politicization of memory and commemoration progressed during the military regime in the 1960’s. Space awareness has expanded throughout the country around 1990 due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interest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fice of the Republic of Korea in China. A survey of historical sites for independence movement at home and abroad by academic circles began in the early 2000’s. Through demonstration, interest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was awakened and awareness of space was emphasized. As a public form to commemorate the independence movement space, this study investigated two patterns of memorial facility designation and cultural property designation. Memory and commemora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space can become daily routine in the lives of citizens when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actual time and space as well as academic circles’ efforts to expand and generalize the recognition to citizens.

목차

1. 머리말
2. 독립운동 공간의 기억
3. 독립운동 공간의 기념
4. 과제: 일상 속의 기억과 기념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朴慶穆(PARK Kyung-mok). (2018).독립운동 공간의 기억과 기념. 한국근현대사연구, 87 , 71-105

MLA

朴慶穆(PARK Kyung-mok). "독립운동 공간의 기억과 기념." 한국근현대사연구, 87.(2018): 71-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