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공기관 재무건전성 종합평가 모형의 타당성에 대한 실증 분석
이용수 178
- 영문명
-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Feasibility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Model for Financial Soundness of Public Institutions
- 발행기관
- 한국국정관리학회
- 저자명
- 정민순(Minsoon Jung) 김영록(Youngrok Kim)
- 간행물 정보
- 『현대사회와 행정』第30卷 第4號, 83~10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공공기관 재무건전성 종합평가 모형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최근 10년간의 공공기관의 주요 경영분석 지표와 재무건전성 모형과의 타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검토되지 않았던 공공기관의 측정된 재무성과에 대한 평가의 타당성을 분석하여 공공기관의 재무성과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공공기관 경영평 가에서 공공기관의 재무성과에 대한 평가가 미흡했던 부분을 공공기관의 재무건전성 평가 모형 으로 보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검증 결과 전체 산업의 평균적인 재무 상태를 공공기관의 재무건전성 판단 기준을 검증하고 재무건전성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공공기관의 재무위험에 대한 모니터링 및 위기관리 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 넷째, 공공기관의 종합적인 재무 상태를 보다 쉽게 진단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에 대한 정부의 공공기관 관리정책의 유용성을 진단하고 재무적 차원에서 공공기관의 효율적 운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분석틀로 활용할 수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재무건전성 평가에 관해서 선행연구에서 검토되지 않은 종합평가 모형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여 공공기관의 재무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feasibility of a comprehensive evaluation model of financial soundness of public institutions.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feasibility of major management analysis indicators and financial soundness models of public institutions over the last 10 years has been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comprehensive evaluation model of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was presented by analyzing the feasibility of evaluating the measured financial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that were not reviewed in the preceding study. Second, it was allowed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evaluation of financial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in the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with the financial soundness evaluation model of public institutions. Thir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he average financial status of the entire industry can be verified and the financial soundness index calculated by the public institution can be calculated to enhance the public institution s ability to monitor and manage financial risks. Fourth, it became easier to diagnose the comprehensive financial status of public institutions. Through this, it can be used as an analysis frame to diagnose the usefulness of the government s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policy for public institutions and to determine whether public institutions operate efficiently at the financial level.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model that can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financial status of public institutions by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model that was not reviewed in the preceding study on the financial soundness of public institu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What Affects the Organizational Pride of Public Servants in Korea: The Effects of Justice and Trust in Organization
- 정책태도와 인지된 비용이 정책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공공기관 재무건전성 종합평가 모형의 타당성에 대한 실증 분석
- 플라스틱폐기물 정책의 평가와 개선방안
- 공무원의 관료제적 특성이 정책 동형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신공공관리 행정개혁의 개혁
- 지방상수도사업의 연구개발투자와 재무성과 간의 상관성 분석
- 제도혁신가 모형으로 본 서울시 청년기본조례제정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