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내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글쓰기 개선방안

이용수 177

영문명
The Role of the Writing Center for Foreign Students in the College of Korea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김남미(Kim, Nam-Mee)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제4호, 67~9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다.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은 학술적 글쓰기 자체의 특성, 대학 교육의 특성, 학습자 특성 때문에 몇 가지 한계 상황에 직면한다. 첫째는 전공별 장르별 접근의 한계이다. 대학 교육 현장의 자체의 전공별, 과목별 글쓰기 담화 공동체의 유형화 작업을 진행되지 못하였다. 전공이나 교양과목을 담당한 교강사의 학술적 글쓰기 자체에 대한 관심도나 중요도에 대한 연구도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글쓰기에 관여하는 사고 영역을 점검하기 위한 기반 작업도 여전히 부족하다. 두 번째 한계 상황은 대학 내 학문 목적 글쓰기 교육에 관여하는 주체의 문제에서 기인한다.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 글쓰기 결과물이나 과정에 대한 평가자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담당자가 아니다. 또 평가자인 전공 담당 교강사는 외국인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자가 아니다. 외국인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자가 평가자가 되는 강좌가 일부 존재하지만 외국인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은 부담이 되는 상황이다. 세 번째 한계 상황은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습자의 특성이 다층적이라는 점이다. 어떤 학습자는 한국어 능력으로 부족으로 인해 대학 수업에 적응하지 못하는가 하면, 또 다른 학습자는 모어를 사용하는 학습자보다 뛰어난 글쓰기 능력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러한 다면성을 가진 학습자 특성을 무시하고 획일적으로 접근하는 방법도, 학습자 개별 상황에 맞추어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글쓰기센터와 같은 기관이 관련 주체들을 연계하는 역할, 다양한 자료들을 모아내고 이를 연구하고 공유하는 역할, 구성원들을 개별적으로 만나 글쓰기 교육의 제반 상황을 운영하고 연구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way of systematizing ‘Writing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It discusses the possible ways to improve academic writing for foreign students in universities. When it comes to the discussion of academic purpose Korean Education, the denotation of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 and “academic Writing” is not the same. The main reason for the difference stems from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itself which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cademic writing itself, university education, and students.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the education of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 faces a few challenges. First, there is the limit of access to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and genres. We are now in a situation where the classification process of writing discourse community according to different disciplines and majors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itself has not been proceeded. The second challenge comes from the matter of subject involved in the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within universities; evaluators for the result of foreign students’ academic writing and process is not the specialist for Korean education for foreigner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Korean universities are multi-layered.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institutions such as writing centers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necting relevant subjects, collecting and sharing various data, and meeting related constituents individually to organize and research the situation of writing education.

목차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학문 목적 한국어 글쓰기와 학술적 글쓰기
3. 학문 목적 글쓰기 교육의 한계
4. 학문 목적 글쓰기 교육을 위한 다각적 연계
5. 정리 및 남은 문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미(Kim, Nam-Mee). (2012).대학 내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글쓰기 개선방안. 리터러시 연구, (4), 67-91

MLA

김남미(Kim, Nam-Mee). "대학 내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글쓰기 개선방안." 리터러시 연구, .4(2012): 67-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