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교양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질문 중심 학습’

이용수 149

영문명
Question-Based Learning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 Focusing on Korea University's Core General Course “Liberty Justice Truth”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양윤의(Yang, Yun-Eui) 조재룡(Cho, Jae-Ryong)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4권 제5호, 175~18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학생이 제안한 ‘질문’을 중심으로 편성되는 교양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기 위하여작성되었다. 전공교육의 예비적 단계의 교육으로 간주되거나, 지식의 전수를 핵심으로 하는 재래의교양교육 모델을 벗어나 융합적, 창의적, 수행적인 교양교육의 모델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가 질문을 생성하고 토론을 진행하며 협력을 통해 결론에 이르는 질문 중심 학습에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의 실례를 공통교양교과인 <자유정의진리>의 교육과정에서 찾았다. 2018 년부터2020년까지 본 교과를 운영해본 결과, ‘질문’은 학생 스스로가 창의적으로 제기하는 문제 설정에 해당하며 이 질문이 다른 질문과 만나서 융합, 확산, 심화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학생의 질문은 1) 정보파악형 질문, 2) 비판적 질문, 3) 분석적 질문, 4) 확장형 질문, 5) 문제해결형 질문, 6) 창의적질문으로 유형화되는데, 이 질문들은 각각 1) 사실판단, 2) 가치판단, 3) 부분의 분석, 4) 전체의 종합, 5) 대상 지향, 6) 주체 지향을 향해 있으며, 문제의식이 심화되면서 1), 3), 5)에서 2), 4), 6)으로 확장, 이행된다. 질문 중심 학습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자유의지를 고양하고 신장시킨다. 질문을제기함으로써 학생은 수동적인 교육의 대상이 아니라, 능동적인 교육의 주체가 된다. 질문을 통해서학생 스스로 지식을 생산하는 주체가 되는 것이다. 둘째, 질문의 주체가 복수화되면서 학생은 필연적으로타자를 만나며, 이들과의 융합을 경험하게 된다. 여기서 윤리적 교양교육의 가능성이 배태된다. 토론은승패를 가리는 논쟁의 형식이 아니라, 타자와의 진정한 만남을 통해서 집단지성을 발휘하고 다양성을존중하며 협력을 배우는 윤리의 무대가 된다. 셋째, 학생은 타자의 입장을 배려하는 데서 나아가 그자신이 타자가 되며, 이로써 타자처럼 생각하고 느끼고 감각하는 ‘감각의 재분배’(자크 랑시에르)가일어난다. 타자가 되는 일이야말로 학습자가 개인, 계급, 젠더, 세대를 뛰어넘어 공동체를 복합적인‘나’로 감각하는 전환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oposes the new goal of implementing a new model for liberal arts education organized around ‘questions’ suggested by students. The general courses should not be seen as preliminary versions of major courses; instead, general and major courses should complement each other. Moreover, general courses (character building education) should focus to a greater extent on the growth of the creative capacities of learners.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which is largely based on the traditional educational model (i.e., one that prioritizes the transfer of knowledge, or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competencies), should be restructured into a new system in which learners can develop the ability to both independently raise issues related to their subject, as well as to think these issues through for themselves. To achieve this, they should be given encouragement to put themselves in the shoes of those whom they study, as it were, or to “become the other,” rather than simply to “analyze the other.” In order to illustrate this new general course paradigm, this paper introduces Korea University s core general course “Liberty Justice Truth.” This is a course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of students asking questions. From 2018 to 2020, as a result of running the curriculum for several years, the ‘question’ corresponds to a question set up by students themselves creatively, and observes the process of converging, spreading, and deepening this question with further questions. The questions from the students are categorized into 1) information grasping questions, 2) critical questions, 3) analytic questions, 4) extended questions, 5) problem-solving questions, and 6) creative questions. 2) value judgment, 3) analysis of parts, 4) synthesis of the whole, 5) object-oriented, 6) subject-oriented (It is hard to follow this numbering pattern in that I’m not sure what they relate to. For instance, does the latter 2 correspond to “critical questions” or new types of questions?) and as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deepens, the questions (is that what you mean? The questions are expanded and implemented? Or their answers are implemented?) from 1), 3), 5) to 2), 4), 6) are expanded upon and implemented. Through this process, the learners’ collective intelligence enables their aesthetic, intellectual, and political judgments to converge. The significance of the question-based class is as follows: First, it enhances and promotes the learners free will. Instructors in this course do not primarily transfer knowledge to the learners, but rather play the role of facilitators of the entire process of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as the subject of the question becomes plural, the learner inevitably meets the “other” and experiences convergence with them. Third, the learner goes beyond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and becomes the other by themselves, thereby causing a “redistribution of sensations” to think, feel, and sense like the other. In The Ignorant Schoolmaster, Rancière stresses that even the students of an ignorant teacher can attain unique knowledge on their own. This paper provides a specific example which supports Rancière’s perspective.

목차

1. 문제제기
2. 공통교양 <자유정의 진리>의 교과 체계
3. 학생의 질문으로 구성되는 수업
4. 질문 중심 학습의 의의
5. 결론: 질문 중심 학습의 과제와 개선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윤의(Yang, Yun-Eui),조재룡(Cho, Jae-Ryong). (2020).대학 교양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질문 중심 학습’. 교양교육연구, 14 (5), 175-187

MLA

양윤의(Yang, Yun-Eui),조재룡(Cho, Jae-Ryong). "대학 교양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질문 중심 학습’." 교양교육연구, 14.5(2020): 175-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