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예비교사의 수송 수단 만들기 활동 과제 제작 과정 이해를 위한 자료 개발

이용수 104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Pre-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nsportation-mean Making Activities Tasks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종표(Kang, Jong-Pyo)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3권 제3호, 91~11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수송 기술과 생활’ 및 ‘수송 수단의 안전 관리’ 내용 요소의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수송 수단을 구상하고, 제작한다.’라고 제시된 성취 기준에 따라, 실제 교육현장에서 수송 수단의 제작 활동을 지도하게 될 예비교사들이 수송 수단 제작의 실제 제작 체험에서 참고할 수 있는 예와 제작 과정의 이해를 위한 자료를 개발하고 개발된 자료의 적절성에 대하여 검증하는 것으로,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송 수단 만들기에서 수송 수단의 기본 요소의 충족 여부는 수송 수단 만들기의 핵심요소로써, 구동과 조향의 각 장치별 기계 요소 부품을 형상과 함께 실제 작동이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은 이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적절한 자료였다. 둘째, 강의실 수준의 환경에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수송 수단의 다양한 형상을 기본 요소별로 구상하여 나타내고, 이 형상의 제작에 적절한 재료를 형상과 특성에 따라 제시한 것은 수송 수단 만들기를 위한 기본적 자료로써 적절하였다. 셋째, 수송 수단 만들기에 사용할 수 있는 수공구와 전동 공구를 나타낸 것은 실제 초등학교에서도 적용 가능한 수준의 공구로써 예비교사들이 이들 공구의 종류와 사용에 대한 이해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 내용 요소의 지도에서 효율적 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이었다. 넷째, 수송 수단의 형상과 이 형상의 제작 과정에 대한 각 단계를 3D 모델링 이미지로 나타낸 것과 각 단계별 작업 내용을 상세하게 기술한 것은 예비교사들이 어떤 순서와 어떠한 작업으로 제작해야 수송 수단을 바르게 제작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자료였다. 다섯째, 수송 수단 만들기 활동 과제의 예와 제작 과정의 이해를 위한 이러한 자료를 휴대폰에서 볼 수 있도록 앱으로 제작하여 배포하는 것은 예비교사들이 참고하기에 적절한 형태의 자료였다. 여섯째, 자료의 적절성 평가를 하였던 실과교육 전문가의 대부분은 이 자료에 대하여 예비교사를 위한 수송 수단 만들기 활동 과제의 참고 자료로써 적절하다고 평가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tandards for achievement of the content elements of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life, it is suggested that transportation means should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using various materials.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need experience in making transportation means for efficient guidance of this content element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is to develop a guide material for making transportation means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veloped material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making transportation means, whether or not the basic elements of transportation means are satisfied is a key factor in making transportation means. The representation of the mechanical component parts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steering device in an image that can be operated in actual operation was appropriate data to help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this. Second, it was appropriate as the basic data for making transportation means that the various shapes of transportation means that could be manufactured simply in a classroom-level environment were conceived and shown by basic elements. Third, the 3D modeling image of the shape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production process of each stage, and the description of the work contents for each stage were appropriate data for pre-service teachers to refer to what order and in what kind of work they should be properly produced. Fourth, making and distributing the guide material for making transportation as an app that can be viewed on a mobile phone was an appropriate form for preservice teachers to refer to. Fifth, most of the practical education experts and teachers who evaluat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data evaluated this data as appropriat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종표(Kang, Jong-Pyo). (2020).초등 예비교사의 수송 수단 만들기 활동 과제 제작 과정 이해를 위한 자료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3 (3), 91-110

MLA

강종표(Kang, Jong-Pyo). "초등 예비교사의 수송 수단 만들기 활동 과제 제작 과정 이해를 위한 자료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3.3(2020): 91-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