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능인문학의 성격과 기호소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180
- 영문명
- A Study on the Nature of Entertainment Humanit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Sign Consumption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양은아(Euna Yang)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26권 제3호, 1~3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문학 소비시대 대중 인문교양교육의 확장과 변용의 맥락에서 방송매체가 대규모로 생산해내는 인문 엔터테이닝의 한 부분으로서 예능인문학의 성격과 대중적 수용 양상에 관한 평생교육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예능인문학 프로그램 10개 유형에 따른 총 24편을 선정·분석하였으며, 관련 전문가(방송 PD, 인문학자, 평생교육학자, 출판·미디어 평론가) 15명 및 시청자 대중 38명을 준거적 선택(criterion-based selection)에 따라 표집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예능인문학 프로그램의 주요 특징은 “간결한 요약과 해답”, “보여주기”와 “퍼포먼스”에 기반한 강의, “질문과 비판적 관점이 표백된 지식”, “넓고 얕은 지식 추구”, “매끄러운 기승전결” 등이 일종의 인문학의 기호가치로 전화되어, 인문학적 사유란 “요약과 해설, 설명”이라는 대중적 형식 속에서 코드화된 지식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력의 기반, 경쟁력을 창출하는 문화자본으로서의 의미, 풍요롭고 여유로운 삶을 상징하는 ‘교양’이미지, 결핍된 역량으로 습득해야 하는 지식기반, 쉽고 빠르게 획득하고 빠르게 소비하는 정보이미지 등 사회·문화적으로 코드화된 이미지를 상징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대중적인 수용 양상은 ‘쉽고 적당한 인스턴트적 소비’, ‘목적성 없는 인문학 휴식’, ‘지적 허영을 채우는 방편’, ‘유명인의 브랜드 가치 소비’라는 특정한 의미체계로서 통용되고 있었다. 이 맥락에서 인문학 소비는 지적 만족과 휴식, 힐링, 자기계발의 도구 등 “지적 액세서리”의 차원에서 더 이상 나아가지 않는 경향성을 드러내었다. 이 관계에서 대중들은 특정한 소비를 주체적으로 선택하는 것 같지만, 실상은 소비대상을 둘러싼 똑같은 기호체계와 가치의 위계코드를 좇는 것이라는 점에서 그 소외는 보다 강화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평생학습 맥락에서 ‘교양’과 ‘교육’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논의하고, 그 의미와 가치를 재설정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analyze the nature of humanities programs on TV and the patterns of their popular acceptance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studies in the context of the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popular humanities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era of humanities consumption. For this analysis, the investigator selected and analyzed a total of 24 representative humanities programs on TV according to the ten types and sampled 15 professionals in related areas (broadcasting producers, humanities scholars, lifelong education scholars, publication and media planners, and critics), and 38 citizen viewers according to the criterion-based selection, an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m. The findings show that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humanities programs on TV included succinct summaries and answers, lectures based on showing and performance, knowledge with bleached questions and critical perspectives, pursuit of broad and shallow knowledge, and a smooth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They were converted into some sort of sign values in humanities and supplied to viewers. Humanistic thinking is to share coded knowledge in the popular forms of summaries, commentaries, and explanations. They represented images coded socially and culturally, including the basis of creativity required from modern society, meanings as cultural assets to create a competitive edge, images of culture to symbolize an affluent and leisurely life, foundation of knowledge to acquire with a deficiency of capabilities, and images of information to be acquired easily and rapidly and consumed quickly. The patterns of their popular acceptance include easy and proper instant consumption; rest with humanities without purpose, a means to fulfill intellectual vanity, and consumption of celebrities brand value, which were in common use as certain semantic systems. In this context, the consumption of humanities tended not to go further than the dimension of intellectual accessories, such as intellectual satisfaction and rest, healing, and tools of self-development. They seem to select what they will consume independently, but the truth is that they seek after hierarchical codes of the same sign systems and values around the objects of consumption. As a consequence, their isolation gets reinforced even mor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relationship of culture and education in the context of lifelong learning and set their meanings and values.
목차
Ⅰ. 서론
Ⅱ. 상품소비사회와 기호소비
Ⅲ. 연구 절차와 방법
Ⅳ. 예능인문학의 특성과 대중적 수용 양상
Ⅴ. 예능인문학 프로그램에 붙박힌 ‘교양’과 ‘교육’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I 기반 피드백 시스템이 초등학생의 통계적 탐구 질문 설정 향상에 미치는 영향 : AI 인식과 피드백 자기 효율성의 조절 효과
- 1900년대 후반~1920년대 초등 교원 양성의 변화 추이
- 삼각형의 합동 및 합동기호의 교육과정별 정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