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Blurring work-life boundaries: Jung and organizational relationships within South Korean workplaces

이용수 51

영문명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저자명
김희선(HeeSun Kim) 엘레나 오부쉔코바(Elena Obushenkova)
간행물 정보
『동서연구』제32권 3호, 37~77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2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기업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일-생활 균형(work-life balance) 과 유교적 인간관계, 그리고 ‘정’ 의 상관관계를 질적 연구(인터뷰) 를 통해 탐색하였다. ‘정’ 은 한국 사회 전반에 존재하는 토착 개념으로 사람들 사이의 긍정적인 감정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한국 인간관계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정’은 개인이 일-생활 균형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될 수 있다. 참여한 다양한 한국 기업의 구성원들은 일-생활 균형을 방해할 수 있는 직장 동료의 과도한 연결성(connectivity) 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며, 이는 좋은 직장 관계 유지에 필요한 부분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많은 연구 대상자들은 일-생활 균형을 맞추고 직장 동료와 분리된 생활을 원하며, 이런 욕구에 대한 죄책감을 느낀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개인의 일-생활 균형 유지에 대한 욕구와 직장 동료의 정 표출에 대한 고마움은 개인에게 심리적 부담감, 스트레스, 및 죄책감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t perceptions towards work-life balance(WLB) in South Korean organizations, in relation to the Confucian relationship structure and indigenous emotional concept of jung. We focus on the expectations towards differ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uided by the perceptions of jung, using qualitative interview data across three different companies. Jung is an indigenous term that broadly describes a feeling of care, emotional attachment, and in-group collectiveness between individuals within Korean society. While jung is often considered as a unique, supportive characteristic in Korean culture, the idea of jung may provide challenges in achieving WLB for organizational workers.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workers accept the extensive connection with work and other organizational members, and also consider that this is a part of maintaining peaceful organizational relationships. Furthermore, such connections are considered to be a signal of jung and care. However, due to the different cultural values and perceptions of individuals, organizational members may still desire a separation between work and personal life. This conflict between desire to maintain WLB, but acknowledging that extensive work-life merge is a sign of jung from other organizational members, may create a feeling of guilt and emotional distress for individuals. Therefore, jung may help to reduce the boundary between work and personal life, but also cultivate negative emotions for individuals who actually desire WLB.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III. Methodology
IV. Findings
V. Discussion
VI.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선(HeeSun Kim),엘레나 오부쉔코바(Elena Obushenkova). (2020).Blurring work-life boundaries: Jung and organizational relationships within South Korean workplaces. 동서연구, 32 (3), 37-77

MLA

김희선(HeeSun Kim),엘레나 오부쉔코바(Elena Obushenkova). "Blurring work-life boundaries: Jung and organizational relationships within South Korean workplaces." 동서연구, 32.3(2020): 37-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