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묘제를 통해 본 5~6세기 소가야연맹체 연구

이용수 471

영문명
A Study Sogaya Alliance in the 5th and 6th century through tomb style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여창현(Chang-hyun, Yeo)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78호, 117~15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소가야정치체는 복수의 중심고분군으로 연계된 동열정치체(peer-polity)인 연맹의 구조로 이루어졌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고분의 구조와 분포권에 주목하여 소가야연맹체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수혈식석곽묘의 축조방식을 분석하여 다곽식석곽묘Ⅰ과 다곽식석곽묘Ⅱ를 소가야식 묘제로 규정하였다. 소가야 고분의 변천은 수혈식석곽묘의 등장과 소가야 집단의 출현, 다곽식석곽묘의 확산과 연맹체의 성립, 고총의 다곽식석곽묘의 계층화로 구분하여 모두 3단계로 파악하였다. Ⅰ단계는 창원권의 지리적인 입지의 영향으로 인해 초기 석곽묘가 등장하고 점차 이서지역으로 수혈식석곽묘가 유입된다. 기존의 목곽묘군과 혼재되어 석곽묘군이 조영되는 경우도 있지만 목곽묘군과 분화된 일정한 공간에 군을 이루어 축조된다. 이 시기 영산강 유역의 묘제의 영향으로 소가야권역의 매장시설에서 분구묘적 요소가 처음 확인된다. Ⅱ단계가 되면 대부분의 소가야권역에서 다곽식석곽묘가 발생한다. 특정한 벽석 축조방식의 채용과 다곽식석곽묘의 확장 양상을 볼 때 이 시기 소가야를 대표하는 독창적인 묘제라고 볼 수 있다. Ⅲ단계는 고총고분인 다곽식석곽묘Ⅱ의 등장으로 인해 소가야권역 내에서 계층화 양상이 나타난다. 6세기 초 무렵의 고성권의 송학동, 율대리, 내산리 고분군 등과 합천권의 삼가 고분군 등에서 다곽식석곽묘Ⅱ가 축조되면서 소가야권역 내에서 중심고분군으로 대두한다. 묘제를 통해 볼 때, 고총의 다곽식석곽묘를 축조한 중심집단의 등장은 결국 느슨한 관계로 결성된 수평적 구조의 체제가 중심과 주변의 상하관계를 전제로 한 연맹의 구조로 발전된 시기로 파악되며, 이러한 연맹체의 구조는 가야 서남부권에 소국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지역집단이 존재하였다는 포상팔국의 사실과 그 궤를 같이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formation of Sogaya Style of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Sogaya political system was composed as a alliance structure, and explored the transitional process of Sogaya Alliance. Looking into the tomb box arrangement of stone coffin tombs, multi stone coffin tombⅠ and multi stone coffin tomb II are defined as Sogaya type tomb style. The transition of Sogaya tomb was grasped as 3 stages by dividing emergence of multi stone coffin tombs, and occurrence of multi stone coffin tombs, and hierarchy of multi stone coffin tombs. At Stage Ⅰ, stone coffin tomb is introduced to Changwon region early-stage multi stone coffin tombs appeared due to the effect of Changwon region’s geographical location. Often, it is mixed with existing wood stone coffin tomb groups, and stone coffin tomb groups are built, but it is constructed in group at a certain space separated from stone coffin tomb groups. At this age, influenced by the tomb system of the Yeongsangang basin, surrounding ditches are first confirmed at the burial facilities of Sogaya region. At Stage Ⅱ, multi stone coffin tombs take place in most Sogaya region. Looking at the adoption of a specific stone wall building type and association phase between stone coffin tombs, this can be defined as an original tomb type typifying Sogaya at this time. At stage Ⅲ, with the appearance of multi stone coffin tomb II as a high tome style, hierarchical phase comes into being in Sogaya region. As multi stone coffin tomb II is built at old tomb groups in Songhak-dong, Yuldae-ri, and Naesan-ri, Goseong region, and Samga, Hapcheon-gun, it surfaces as a central old tomb group in Sogaya region. Looking into the tomb style, the emergence of the central group building high multi stone coffin tomb is finally judged as an age horizontal structural system formed in a loose relation was developed into an alliance structure on the condition of a hierarchial relation of the center and surroundings.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방법
Ⅲ. 묘제의 검토
Ⅳ. 소가야연맹체의 분포와 변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여창현(Chang-hyun, Yeo). (2017).묘제를 통해 본 5~6세기 소가야연맹체 연구. 영남고고학, (78), 117-154

MLA

여창현(Chang-hyun, Yeo). "묘제를 통해 본 5~6세기 소가야연맹체 연구." 영남고고학, .78(2017): 117-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