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5세기 부산ㆍ김해지역 무장체제와 지역성

이용수 156

영문명
Regional Variation of the Armament Organizations during the 4~5th Centuries in Busan and Gimhae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이현주(Lee Hyun Joo)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54호, 43~86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4~5세기대 영남지역 고대사회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부산 복천동고분군의 성격을 수직적인 상하관계 속에서 김해 대성동고분군에 종속시켜 위치지으려는 경향이 최근에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고, 이 글에서는 금관가야연맹체 내의 동일 문화권으로만 이해되어 온 부산과 김해 두 지역에 있어서 무장체계의 비교를 통하여 시기적 전개과정과 지역적 특징을 추출해 서로 같은 점과 다른 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부산지역에서는 이른 시기에 실용적이고 강력한 무기체제가 성립된 점이 특징이며, 일찍이 갑주의 철제화과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에 대응한 공격용무기의 구성이 전환된다. 또한 4세기에는 지배계층 전체가 무장한데 비해 5세기에는 지배계층 내에서도 무장층과 비무장층으로 분화되는 경향을 읽을 수 있으며, 이는 지배체제가 보다 세분화되고 조직적으로 변화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비해 김해지역은 대외교역의 거점지역으로서 면모를 갖추면서 3세기 후엽에 강력한 지배자가 등장하고, 다량 수입된 위세품을 매장의례에 과시하였다. 여기에는 왜계 위세품이 눈에 띄며, 특히 4세기에 왜계 무기의 일종인 창(槍)은 김해지역의 무장체계에 편입되는 양상을 보인다. 경주지역은 방어용무기의 철제화 시점이 이르고 공격용무기의 발전양상도 선행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중앙 지배계층의 무장화보다는 오히려 별도의 무장계층이나 집단을 두고 있는 점이 특징으로 지적될 만하다.

영문 초록

From 4th to 5th century A.D., the elite graves were provided with a large amounts of the various iron arm and amor as a symbolic practices for burial ceremony in the ancient polities of Youngnam region. It has been, therefore, expected that the analysis of the iron weapons discovered from the elite burials could be helpful to reconstruct the organization of military equipments. In this paper, first, I have tried to show the differential development processes of iron weapons between three different regions, Busan, Gimhae and Gyeongju, based on examination of the iron arm and armor from the elite group burials of the individual regional polities, From the beginning of 4th century, the forging technology began to be applied to iron amor production by the craftsman of Busan region and the offensive weapons with increased efficiency in practical use were produced earlier than Gimhae region. Based on the analysis of grave goods of Bokcheon-dong burials, it is suggested that the ruling elites of Busan were gradually separated into the worrier and non-worrier groups during the 5th Century A.D. The iron weapons from elite group burials of Geumgwan-Gaya(金官加耶), the regional polity of Gimhae which occupied central place of oversea trade, could be characterized by the existence of the ritual weapons with symbolic meaning and ‘Wa(倭)’ type weapons in a large amount. In Gyeongju, the center of Saro-guk(斯盧國) and Silla(新羅), the large quantity of the various military equipments manufactured from iron were interred in the elite graves at relatively earler time, compared to the elite burials of other polities in ancient Youngnam region. And it must be noticed that the specialized worrier group emerged apart from ruling class.

목차

Ⅰ. 머리말
Ⅱ. 무기의 종류와 변화상
Ⅲ. 단계적 전개과정
Ⅳ. 지역별 무장체제의 특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주(Lee Hyun Joo). (2010).4~5세기 부산ㆍ김해지역 무장체제와 지역성. 영남고고학, (54), 43-86

MLA

이현주(Lee Hyun Joo). "4~5세기 부산ㆍ김해지역 무장체제와 지역성." 영남고고학, .54(2010): 4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