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남 남해안지역 영ㆍ진ㆍ보성에 대한 검토

이용수 124

영문명
A Study on the southern Coastal Fortresses located in Gyeongnam Province in Korea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이일갑(Lee, il-gab)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45호, 5~4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5.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 전기에는 남해안으로 침입하는 왜구를 방어하기 위해 해류를 포함한 지리적인 영향을 고려한 왜구의 도박처에 해당하는 연해고을을중심으로 영진보성을축조하기에 이르렀다. 본고는 이러한 영ㆍ진ㆍ보성 축조를 읍성이나 산성의 축조와는 또 다른 새로운 경향으로 전반적인 이해의 전제를 가지고 경남 남해안지역에서 발굴조사 및 정밀지표조사된 영ㆍ진ㆍ보성의 고고학적 특징을살펴보고, 또한 임진왜란시 축조되어 남해안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왜성과의 비교를 통하여 남해안지역 영ㆍ진ㆍ보성의 입지와 조선의 군사방어체제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경남지역의 영ㆍ진ㆍ보성은 입지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A형의 해안평야형과 B형 내륙형, C형의 도서형, D형의 해안선형으로 분류된다. 영ㆍ진ㆍ보성에서 확인되는 평면형태는 연해읍성과 동일하게 방형과 원형, 주형, 제형이다. 남해안 영ㆍ진ㆍ보성은 주형이 전체의 절반을차지하고 제형의 형태가 그 다음을잇고 있다. 영ㆍ진ㆍ보성에 주형이 축조된 것은 수군기지로서 배를 이용한 생활이 일상화되어 있는 군사집단으로서 주형의 평면형태를 사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조선 전기에 유행하던 주형은 전기 후반을지나 조선 중기로 연결되는 16세기에도 계속적으로 성곽의 평면형태로 채용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축성수법에 따라 분류하면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시기적으로 B→C→A형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것은 조선 전기의 석축 내탁식→계단상 축조식→토축 적심식으로 축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ㆍ진ㆍ보성의 성 둘레는 제대단위별 위계질서에 의해 확연한 차이를 두고 있다. 경남지역 영ㆍ진ㆍ보성 성고의 경우에는 3개소를 제외하고 모두 13척의 성고로 축조되어 있어 단기간에 걸쳐 동일한 규식을적용받아 것을알 수 있으며 군사기지로서 제식형태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영ㆍ진ㆍ보성 부대시설 가운데 치성은 기존에는 지형적인 조건이나 성 둘레에 따라 길이와 폭이 가감되는 것과 더불어 행정단위의 위계가 높은 고을과 육군진과 수군진의 경우각 진의 서열에 따라 상위지휘체계의 영ㆍ진ㆍ보성일 수록 치성의 길이와 너비가 더 크게 축조되었다. 15세기에서 16세기로 접어드는 성종과 중종조에 축조된 영ㆍ진ㆍ보성의 길이는 5m 내외로 세종15년 이후 연해읍성의 치성 축조시 규식화된 20척(9.4m)과는 일정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영ㆍ진ㆍ보성의 치성 축조에는 세종조의 규식이 시행되지 않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다음으로 남해안지역 영ㆍ진ㆍ보성의 설치 요인 중 가장 중요시 되었던 것은 해로와 조선 전기 해방에 대한 군사전략이었다. 이러한 해로의 사례를 잘 나타내어 주는 것이 조선 시대 남해안의 조운로이다. 조선시대 영ㆍ진ㆍ보성의 설치와 운영은 조선 전기 남해안지역의 해안방어체제의 완비를 위한 입보수성의 소극적인 방어전술의 전환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인 해안방어 전술의 변환책으로서, 장재거선 원칙에 입각한 수군전술에 기인한 장기간의 해상활동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함선기능의 열세에 의한 연해초동작전의 실패를 줄이고, 아울러 원활한 군수품의 조달과 비축, 수군의 훈련 및 휴식공간으로서의 안정성을통한 수군의 대해상방어 활동을 유지하게 하는 좀 더 강화된 대해상방어전략이었던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coastal fortresses were built to defend the southern coast centered on Younhae village that was regarded as the main occupied territory of Japanese pirates, considering geographical conditions including ocean curren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arc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astal fortresses excavated from southern coast of Kyungnam province, based on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from village fortresses or mountain fortresses. In addition, it was also to find ou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location of coastal fortresses related to the military defense system of Joseon dynasty, compared with dwarf fortresses which were built in southern coast during Joseon dynasty. There were four types of Coastal fortress in Gyeongnam province : type A, coastal plain type, and type B, inland type, Type C, island type, Type D, coast type. The plane types of southern coastal fortress were square, circle, trapezoid, and pillar, similar to Younhae village fortress. Half of southern coastal fortresses were pillar type and secondly trapezoid type. Led by tradition, pillar type coastal fortresses were built during king Sungjong’s period intensively. It might be natural for naval force to built pillar type coastal fortress because there ordinary days were with ships. In conclusion, whatever the reason was, pillar type fortresses usually buil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adapted as main plane type for the fortresses in the 16th century, the middle Joseon dynasty, continuously. As for the fortification method, there were three types of fortification method. Periodically they were changed from type B to type Cto type A : from masonry (Sukchuk Naetaksik) to stair wall (Kyedansang Chukjosik) to mud wall (Tochuk Cuksimsil). As for the circumferences of the coastal fortresses,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 grade of rank : all the storages except for 3 storages in the coastal fortresses of Gyeongnam province were 13 chucks high (393.9㎝). It can be concluded they were applied same rules and forms in short period. As for the battlements, the one of the facilities in the coastal fortresses, their length and width were decided according to condition of the location or the circumferences. In case of the higher administration units, military camp, and naval camp, the higher echelons, the bigger battlements were built according the grade of the echelons. In King Sungjong’s and King Chungjong’s period, between the 15th century and 16th century, the lengths of coastal fortresses were about 5 meters. They were different from Yunhae village fortress that was applied the rules and forms of King Sejong’s period, 20 chucks (9.4m). It can be concluded they were not operated after 15th year of King Sejong’s period. The sea route and the military strategy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building coastal fortresses. The most representative one was Chounno, the sea route for the tributes transportation of modern nation, of southern coast during Joseon dynasty.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coastal fortresses in Joseon dynasty were not only passive tactics to shelter the land the people, but also active tactics to minimize negative effects against long-term life on the ship of the navy, reduce the failure of primary operation near the coastcaused by numerical inferiority of the naval ships. Furthermore, they were the strong defense strategy against the enemy from the sea : They could serve military procurement and saving smoothly, and provide the place to train and rest for the navy.

목차

Ⅰ. 머리말
Ⅱ. 영ㆍ진ㆍ보성의 분류 및 비교
Ⅲ. 영ㆍ진ㆍ보성의 치성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일갑(Lee, il-gab). (2008).경남 남해안지역 영ㆍ진ㆍ보성에 대한 검토. 영남고고학, (45), 5-40

MLA

이일갑(Lee, il-gab). "경남 남해안지역 영ㆍ진ㆍ보성에 대한 검토." 영남고고학, .45(2008): 5-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