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낙동강 중류역 삼국시대 성곽의 변천과 방어체계

이용수 149

영문명
Transition and Defense system of Fortresses located on Middle basin of Nak-dong river in Three-kingdoms period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조효식(Cho, Hyo-sik)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44호, 39~6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2.28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낙동강 중류역 양안에 집중 분포된 삼국시대 성곽들에 대한 검토결과를 토대로 성곽의 통시적인 변천과 방어체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낙동강 중류역 양안에 축조된 성곽에 대한 조사 및 그 특징을 검토해 본 결과 관련 성곽의 축조시기 및 점유과정은 크게 3시기로 구분된다. 먼저 5세기 중엽 이전에는 일부 거점지역을 중심으로 저위에도 성곽이 축조된다. 성곽의 기능은 입지나 성내에서 채집되는 유물 등으로 볼 때 교역활동과 관련해 이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들은 상호간거리 차이가 상당하여 군사적으로 연계되기 어려웠다. 이후 5세기 중엽에서 6세기 중엽 사이에는 양안에 성곽이 집중 축조된다. 특히 축조된 성곽들은 이전 시기와 달리 상호 가시적 범위 내에 분포하며, 일부 요충지를 중심으로는 성곽 사이의 대치국면도 확인된다. 그리고 동안의 성곽(신라성곽)과 서안의 성곽(대가야성곽)을 비교해보았을 때 그 형태와 규모, 내부 구조물 등에서 상당한 차이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주목되는 것은 6세기 초 이후 동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구조물을 가진 대형 성곽들이 축조되는 데 반해, 서안의 경우 지역을 달리해 소형의 테뫼식 성곽들이 계속해서 축조된다는 점이다. 이 경우 축성을 둘러싼 배경 요인 을 검토해 볼 때 동원된 인력 규모와 시간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나아가 팽팽하게 대립하던 양국 관계는 562년 신라의 대가야 병합으로 종료된다. 동시에 서안에 축조된 대가야성곽 내에서도 신라토기편이 채집되는 것과 같이 새로운 재편과정을 보여주는 흔적들이 확인된다. 요컨대 성곽간의 유기적인관계망을 비롯해 내부 유구 및 유물 등의 여러 자료들을 검토해 보았을 때 낙동강 양안에 구축된 성곽들은 방어목적으로 구축되었으며, 나아가 양국 사이에 형성된 갈등과 그 재편과정을 잘 대변해 주는 자료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diachronic transition and defense system based on results of investigation which is about fortresses located on Middle basin of Nak-dong riversides in dense. Construction of fortress and its occupati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by examining features of fortress constructed on riverside. First,lo w-altitude fortresses are constructed centering around some key potions before middle of 5th century. The fortresses of this period are assumed that they are concerned with trades founded on their location and artifacts from ruins of fortresses. Next,F ortresses are constructed at both Nak-dong riversides densely between middle of 5th century and early of 6th century. Unlike prior period,f ortresses are built under an aspect which is linked with each other in range of mutual vision in this period and it could be identified that some stratigraphic points stand face to face. In addition,th e features which can divide fortresses into Silla fortress and Daekaya fortress are noticed. There are differences in shapes and size of fortress. Especially,l arge-sized valley-included forms were constructed on east riverside. But in contrary,s mall-sized mountaintop-rounded forms had continued to being constructed on west riverside. This differences are due to mobilized labour and constructing time. Finally,a 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Daekaya had finished as a result of Silla’s absorption to Daekaya in A.D. 562. Thus,Daekaya fortresses located on west riverside function defense and ruling point of Silla newly. This aspect could be noticed by artifacts such as Silla pottery found in ruins of Daekaya fortresses. In sum,bor der of Silla and Daekaya and their defense system for protecting territory could be established through fortresses constructed on Nak-dong riverside.

목차

Ⅰ. 머리말
Ⅱ. 낙동강 중류역 삼국시대 성곽의 변천
Ⅲ. 방어체계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효식(Cho, Hyo-sik). (2008).낙동강 중류역 삼국시대 성곽의 변천과 방어체계. 영남고고학, (44), 39-64

MLA

조효식(Cho, Hyo-sik). "낙동강 중류역 삼국시대 성곽의 변천과 방어체계." 영남고고학, .44(2008): 39-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