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無文土器時代 住居址 內部의 積石現狀과 意味

이용수 65

영문명
The meaning of Phenomena of stacked stones in Mumun Pottery Period pit-house : Around Ul-san area data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金賢植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37호, 75~9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포항-경주-울산지역의 무문토기시대 주거지에서 적석현상이 조사되는 예가 늘어나고 있지만, 주목할만한 연구성과가 없다. 주거지 내부의 적석은 인위적으로 주거지에 들어간 것으로 보이는데 그 근거는 한꺼번에 많은 양의 돌이 확인되며, 군집을 이루며, 돌의 바닥높이가 일정하다는 것이다. 유적에서 확인된 적석현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첫째, 주거지에 매몰되는 시점이 주거지가 폐기된 이후이다. 둘째 목탄·소토 등의 화재의 흔적도 관찰된다. 셋째, 적석된 돌의 암질은 유적 주변에서 확인되는 돌과 같으며, 인공흔이 없다. 그리고 유적에서 출토된 석기류와 암질이 일치하지 않으며, 석기로 쓰기에 적합하지 않은 암질이다. 넷째, 적석현상이 확인된 주거지는 취락에서 일정한 비율을 보이는데, 대략 한 개 취락에서 2동 정도가 기본적인 단위로 생각된다. 기존의 적석행위에 대한 시각은 적석을 건축부재로 보는 시각과 의례 유구로 보는 시각이 있지만, 단순 폐기장으로서의 가능성도 상정 할 수 있다. 필자는 적석현상이 확인된 주거지가 취락에서 일정한 비율을 보이는 것, 취락에서 가장 늦은 단계에 폐기된 주거지라는 것, 그리고 이 시기의 농경형태가 화전농경이라는 견해를 수용하여, 이러한 적석행위는 취락을 폐기하기 전에 이루어진 의례행위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cases of finding stacked stones are increasing at the Mumun Pottery Period pit-houses in Pohang-Kyungju-Ulsan area, but there is no significant research result. It has been assumed that stacked stones in the pit houses were inserted artificially because lots of stones are found at a time and are formed in a group, and the height of stone bases are uniform. Phenomena of stacked stones found in remains hav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moment when they were buried in the pit-houses is after the pit-houses were discarded. Second, the traces of fire such as charcoal or burnt earth are observed. Third, the nature of stones is same as other stones’ near the remains, and they have no artificial scratches. The nature of stone tools excavated in the remains is different from that of stacked stones, which are not suitable for using as a tool. Fourth, the pit-houses where stacked stones were found comprise certain ratio to a village, and 2 piles per one village are considered as a standard unit. Previous theories on behavior of accumulating stones include that it is a part of construction or a ritual instrument, or just a simple garbage dump.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it-houses with stacked stones has a certain ratio and are discarded at the latest stage in a village, and the agricultural pattern of this period is slash-and-burn farming, this study argues that the phenomena of stacked stones are result of ritual behaviors performed before the village is discarded.

목차

I. 머리말
II. 유적의 검토
III. 적석현상의 특징
IV. 취락에서 적석행위의 의미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賢植. (2005).無文土器時代 住居址 內部의 積石現狀과 意味. 영남고고학, (37), 75-96

MLA

金賢植. "無文土器時代 住居址 內部의 積石現狀과 意味." 영남고고학, .37(2005): 75-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