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토지가격비준표를 통한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4

영문명
A Study on Developing and Utilizing the Preservation Index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Based on a Land Price Index Table
발행기관
한국부동산연구원
저자명
송하승(Song, Ha Seung) 이진희(Lee, Jin Hui)
간행물 정보
『부동산연구』제30권 제3호, 7~2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지정한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은 공익을 위해 수인해야 할 사회적 제약에 해당한다. 그러나 사회적 형평성 차원에서 주민지원과 같은 정책적 배려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 같은 정책을 추진하기에 앞서 주민지원의 타당성, 지원 정도와 기준 등을 마련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는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에서 보존 강도(보존지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토지가격비준표를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보존강도(보존지수)는 사회적 제약의 크기를 의미하며, 지구지정 전⸱후에 발생하는 토지가격의 상대적 차이로 측정하였다. 즉 도시적 토지이용에 가까울수록, 허용 정도의 제한이 강할수록 보존지수가 높다. 실증분석 결과, 보존강도가 높은 보존등급 1, 2등급 면적이 경주시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의 17.0% (12.9㎢), 수원시는 19.2% (0.72㎢)를 차지하였다. 보존총량은 경주시가 54.2, 수원시가 33.1로 산정되었다. 그리고 산정한 보존 등급과 총량을 주민지원 규모 설정 기준, 주민지원 예산의 지자체 배분 기준, 보존총량 모니터링 지표 등에서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District (HCED) belongs to the social regulation (planning regulation) for the benefit of the public. However, there is no community support program that is equivalent to the regulation. In order to introduce the program, it is necessary to discuss its validity and objective criterion for delivering incentives to the communities in HCED. For this reas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eservation index (PI)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by utilizing a land price index table. The PI, which is referred to as the degree of planning regulation,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a land price gap before and after the designation of the HCED. That is, the PI in a parcel can be higher, as the parcel is closer to urban land use and more restricted by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s a result of the preservation grade (PG) derived from the PI, the PG 1 and PG 2 regarding higher PI scores are estimated to be 17.0% (12.9 ㎢) and 19.2% (0.72 ㎢) of the HCED in Gyeongju and Suw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otal amount of PI is 54.2 in Gyeongju and 33.1 in Suwon. Lastly, in terms of policy, this study suggests to utilize the developed PI (PG) a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size of the incentives to communities, allocating a scale of subsidies to the local governments, and monitoring a nationwide PI.

목차

Ⅰ. 서 론
Ⅱ.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의 규제와 주민지원
Ⅲ. 역사문화환경 보존 관련 토지이용 계획과 토지가치
Ⅳ.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수 개념과 산정 방법
Ⅴ. 사례지역 실증분석
Ⅵ. 정책적 함의와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하승(Song, Ha Seung),이진희(Lee, Jin Hui). (2020).토지가격비준표를 통한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부동산연구, 30 (3), 7-21

MLA

송하승(Song, Ha Seung),이진희(Lee, Jin Hui). "토지가격비준표를 통한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부동산연구, 30.3(2020): 7-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