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두 개의 글로컬라이제이션, 두 얼굴의 글로컬

이용수 485

영문명
Two Glocalizations, Two Faces of ‘Glocal’ - The pros and cons of cultural planning on the basis of Glocalization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김성수(Soung-su Kim)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10호, 105~13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글로컬’은 일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정체가 완전하게 규명되지 않은 단어이다. 원래 어떤 단어든 특정 사용자에 따라 또는 이해에 따른 구체적인 사용 선호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으며, 여러 복잡한 내용을 함축하고 있는 단어들은 특히 더 그렇다. ‘글로컬’ 역시 예외가 아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글로컬’은 글로벌라이제이션 내에서의 글로컬 개념과 글로벌라이제이션을 넘어서고자 하는 전략적 대안으로서의 글로컬 개념 사이에서 부유하고 있다. 물론 보편-개별 개념은 2500년 서구 지성사와 함께 지속되어온 내용이므로 이 개념을 이용하여 해석한 글로컬라이제이션 개념은 설득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인 글로벌문화와 개별적인 로컬문화 사이의 긴장, 나아가 문화혼종에 대한 이해 상황은 이처럼 글로컬에 대한 두 가지 개념 문제를 만들어낸 듯하다. 필자는 이를 두 개의 글로컬라이제이션으로 규정하고 그 내용을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했다. 또한 이런 상황이 발생하게 된 이유를 문화에 내재된 보편성과 특수성이라는 원초적 문제, 그리고 자국의 특성 및 유리한 면에 중점을 두어 글로컬라이제이션 개념을 자신들의 성향에 맞게 유용하고자 한 점으로 파악해서 논증하였다. 최근에는 이 글로컬 개념으로 인해 한 국가의 문화콘텐츠 제작기조까지 비평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문화콘텐츠 기획에 있어서의 기초적인 플랜도 미리 밑그림을 그려볼 수 있게 되었다. ‘글로컬’이 국제용 문화상품 기획·제작·분석에 있어서 하나의 주효한 이데올로기가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한류의 미래 역시 글로컬 개념과 함께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글로컬 개념이 세계상품화를 기획하는데 있어서 보다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고 있으며, 기존의 세계적인 유명콘텐츠들까지 쉽게 설명할 수 있게 해주고 있는 탓이다. 바로 이런 이유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글로컬 개념에 대해 막연한 환상을 갖게 된 듯하다. 그러나 혼종이라는 차원에서 보면 글로컬은 상당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개념이다. 혼종된 글로컬문화콘텐츠는 그렇지 않은 콘텐츠보다 훨씬 더 완결성, 다양성, 참신성에 부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를 두 얼굴의 글로컬로 규정했다. 본고는 글로컬 개념에 대한 양가적 특성 및 가치를 살펴보는데 주안을 두었으며, 향후 어떻게 ‘글로컬’에 접근해야 하느냐와 관련된 몇몇의 논의들을 다루었다.

영문 초록

‘Glocal’ is a widely used term now, but it is also a term that defies a precise definition. ‘Glocal’ in its present usage appears to drift between the concept of glocal within globalization and the concept of glocal as a strategic alternative that attempts to go beyond globalization. This drift stems from the tension between the “universal” global culture and the “individual” local culture as well as from the understanding about cultural hybrid. The universal-individual distinction has been with us for 2500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the Western intellectual history. Recently, ‘Glocal’ is becoming a useful ideology in the planning and creation of cultural contents which target global audience. For this reason, people seem to have a fantasy towards the concept of glocal. It is because the concept of glocal makes the planning of global cultural contents easier and also makes it easier to explain globally famous cultural contents in practical terms. From the perspective of hybrid, however, glocal has its challenges. Hybrid glocal cultural contents have to meet greater expectations in terms of the degree of completeness, multiformity, and novelty. This makes it plausible to claim that ‘glocal’ has two faces.

목차

1. 머리말
2. 글로컬, 왜 보편과 개별인가?
3. 두 개의 글로컬라이제이션, 그리고 글로컬리티와 문화코드
4. ‘글로컬라이제이션’을 추구하는 문화콘텐츠 기획의 장점과 단점: 한류의 경우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수(Soung-su Kim). (2013).두 개의 글로컬라이제이션, 두 얼굴의 글로컬. 글로벌문화콘텐츠, (10), 105-136

MLA

김성수(Soung-su Kim). "두 개의 글로컬라이제이션, 두 얼굴의 글로컬." 글로벌문화콘텐츠, .10(2013): 105-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