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遼代 鮮演의 『華嚴經談玄決擇記』의 텍스트 간 비교연구

이용수 37

영문명
Comparative textual Study of Liao period Xianyan’s Huayanjing Tanxuanjuezĕ ji華嚴經談玄決擇記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Zōkyoshoin copy藏經書院本 and the Wanxuzang copy卍續藏本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박은영(Park, Eun Young)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53輯, 137~17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遼代의 대표적인 화엄저술인 鮮演의 『화엄경담현결택』의 2종 사본과 1종 간본 간의 비교연구로써, 필자가 선행 연구로 진행했던 ‘『가나자와사본』과 『만속장본』 간 비교연구Ⅰ·Ⅱ’의 뒤를 잇는 작업이면서 동시에 『결택기』의 텍스트 정본화의 결론에 해당한다. 기존의 비교연구 대상이었던 『가나자와사본』과 『만속장본』의 교감결과 위에 추가로 교토대학교 도서관부속 장경서원소장 사본인 『장경서원본』을 함께 검토하여 3종의 텍스트 간 교감연구의 결과를 종합 정리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된 교감연구의 결과에 대해 새로 나온 수정사항을 정리하고, 새롭게 추가된 『장경서원본』과의 교감사항을 교감표로 작성하고 교감내용의 특이사항을 분석하고 이러한 텍스트의 정본화 과정을 통해 『결택기』의 문헌적인 완성을 이루는 데에 있다. 필자는 앞서 2차례에 걸친 『가나자와사본』과 『만속장본』 2종의 텍스트 간 비교연구를 통해서 『만속장본』에 유실되거나 빠뜨린 글자를 『가나자와사본』에 의거해 권제3에서 8페이지 반 분량의 2597자와 권제6에서 353자를 보충하고, 각권마다 수백 개 항목의 글자를 수정하는 등 문헌학적으로 중요한 연구 성과를 얻었다. 그런데 이번에 추가한 『장경서원본』과의 교감연구는 그것이 『결택기』의 최고본인 『고잔지본』을 저본으로 하여 비교적 근세에 필사된 것이고, 또 『만속장본』의 저본으로 간주되므로 가장 기본적으로 수행해야할 작업이었다. 결과적으로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서 선행연구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몇 가지의 의문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새로운 교감결과를 이끌어냈다. 즉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수정·보충사항이 거의 일치한 점을 통해 『장경서원본』이 『만속장본』의 저본임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었고, 또 『만속장경』으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십여 개의 항목에 수십여 개의 오자를 새롭게 찾을 수 있었다. 제2권의 10개항, 제3권의 10개항, 제4권의 13개항, 제5권의 32개항, 제6권의 19개항에 달하는 새로운 교감결과는 모두 『장경서원본』을 『만속장본』으로 간행하는 과정에서 편집자의 실수로 발생된 것들이다. 『장경서원본』의 교감이 추가됨으로서, 『결택기』 텍스트의 정본화가 극대화되었으며, 『결택기』가 지닌 주석서로서의 가치 또한 더욱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Qingliang Chenguan’s 淸涼澄觀 Huayanjing shu 華嚴經疏 in twenty volumes and the commentary on it, the Suishuyan yichao 隨疏演義鈔 in forty volumes was written in support of the main thesis of Fazang 法藏. This commentary has since become, both in name and reality, the representative commentary on the thoughts contained in the voluminous Huayanjing. Also this commentary became important in the Liao that numerous copies were printed over two rounds at the Hongfa si temple 弘法寺 in the Yanjing region 燕京. The commentaries are on the Huayanjing shu (vols 1-4), Suishuyanyi chao (vols. 1-16)(Xuantan 玄談 vol.8). There are three commentaries on the Huayanjing shu chao, composed by Liao scholar-monks, and among these, one is extant in complete form, the juezĕ ji. The posthumous epithet given to Xianyan that was bestowed on him is fitting given the position that he holds in the history of Liao and Huayan Buddhism. In the study not only of the Liao’s Huayan thought, but also East Asian Huayan thought of the medieval period, several aspects of the philological values of the Juezĕ ji are apparent. The current Juezĕ ji is possibly the only literature that allows an investigation of how the expansion of the Huayan school during the Liao period occurred. The many literatures cited within the Juezĕ ji, by counting and comparing the number of times that certain literatures were cited we can ascertain the composition of the Huayan thought that was current during the Liao period and identify those doctrines that were incorporated. Among the literature cited in the Juezĕ ji, it can be noted that Fazang’s representative compositions and Zongmi’s 宗密(780-841) were often cited. In this way, Fazang and Zongmi allows for a connection from the Liao to the Tang period Buddhism, and more specifically, Tang Huayan thought which can be verified through the citations in the Juezĕ ji. The extant segments of the Juezĕ ji are four copies, the first is Kōsanji copy高山寺本 that considered the most preferred source material, the second is Kanazawa copy金澤寫本, the third is Zōkeishoin copy藏經書院本 that a modern transcribed copy of the Kōsanji copy, the forth is Wanxuzang copy卍續藏本 that a printed copy of the Zōkeishoin copy. This means that the Wanxuzang, Zōkeishoin, and the Kōsanji copies are the same versions. In the precedent studies, I procured and analyzed as paragraphs of 122 to 380 point between the manuscripts of Kanajawa copy and the texts of the Wanxuzang copy (from the second to the sixth volume). And now I also make a comparative study until the second to the sixth volume to add the another typical text, the Zōkyoshoin copy. As a result, it has been added and replaced to modify between the texts of the Wanxuzang copy and the Zōkyoshoin copy that have ranged from scores every single fascicle. In this paper I set them all down in a list and referred to the overall points and the one significant abnormality. Thus I sought to introduce the results of comparative studies for the intertextuality of the firth volume to the sixth volume. Consequentially I could reveal the values of intertextuality of the typical three text of Tǎnxuan Juezĕ Ji.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결택기』의 4종 텍스트에 관한 재고
Ⅲ. 『결택기』의 3종 텍스트 간 비교연구
Ⅳ.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영(Park, Eun Young). (2020).遼代 鮮演의 『華嚴經談玄決擇記』의 텍스트 간 비교연구. 불교연구, 53 , 137-178

MLA

박은영(Park, Eun Young). "遼代 鮮演의 『華嚴經談玄決擇記』의 텍스트 간 비교연구." 불교연구, 53.(2020): 137-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