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일, 통일된 조국”

이용수 272

영문명
“Germany, United Fatherland”: East German Democratic Revolution of 1989 and German Unification
발행기관
한국독일사학회
저자명
이동기(Lee, Dong-Ki)
간행물 정보
『독일연구』Vol.44, 171~213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여타 동유럽 국가의 1989년 혁명과는 달리 동독의 민주혁명은 주민의 대량탈출에 의해 촉발되었다. 대량탈출과 체제비판운동은 상호작용하면서 동독 체제붕괴의 민주혁명을 추동했지만 동시에 서로 다른 이질적인 지향으로서 대립하기도 했다. 1989년 10월과 11월 신포럼을 비롯한 체제비판 단체들이 거리 시위와 단체와 정당의 조직화 활동을 주도했을 때에는 통일문제 보다 체제 개혁과 갱신이 정치 관심의 중심 주제였다. 하지만 11월과 12월 체제비판운동이 ‘제3의 길’을 내세워 서독과의 통일을 유보 내지 우회하려고 나서자 동독 주민들 다수와 체제비판운동의 일부는 더 이상 동독 국가의 존속에 미련을 두지 않았다. 그들에게는 서독과의 통일이 체제 개혁의 완성을 뜻했다. 동독 주민 다수가 서독의 정치지도부의 통일공세에 조응하며 서독의 물질적 풍요와 새로운 삶의 더 많은 기회 획득으로 관심을 돌리면서 체제비판운동은 정치의 주변부로 내몰렸다. 동독 체제비판운동이 지닌 탈중심성과 기층민주주의적 성격은 결정적인 국면에서 더 이상 동독의 미래 전망으로 존중받지 못했다. 민주혁명은 독일통일로 발전했지만 그것의 중심 주체는 더 이상 애초 민주혁명의 주역들이 아니었다. 혁명 과정에서 급속한 통일로 방향 전환을 주도한 것은 민주혁명에서 정치화된 평범한 동독 주민들이었다. 민주혁명은 통일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애초 민주혁명의 주역들이 내세운 ‘제3의 길’은 역사 속에서 사라졌다. 동독 민주혁명은 초기부터 서독의 유인에 맞섰기에 독자 국가 존속 지향이 뚜렷했지만 그것은 역설적으로 서독과의 결합을 개혁의 완성으로 보는 흐름을 강화하기도 했다.

영문 초록

Unlike the 1989 revolution in other Eastern European countries, the democratic revolution in East Germany was triggered by the mass exodus of the population. The mass exodus and the opposition movement against the communist regime interacted with each other to promote the democratic revolution for the collapse of the East German regime, but at the same time, they confronted each other through their different and heterogeneous orientations. In October and November 1989, when a few of opposition organizations led protest movement for the revolution, a system reform and the democratic socialism were at the center of demands and arguments rather than an unification issue. However, in early December, when the democratic movement organizations tried to bypass unification with West Germany by advocating a third way , the majority of East German citizens and part of the activist of the movement didn’t support longer for the existence of the East German state. It sought to complete reforms of the system through the German reunification. The majority in the opposition movement was pushed to the periphery of politics as many East German citizens responded to the offensive of unification policy by the West German political leaders. They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material abundance of West Germany and the acquisition of more opportunities for a new life in the united Germany.

목차

I. 서론
II. 대량탈출과 체제비판운동
III. 민주혁명과 민족 문제
IV. 체제비판운동의 주변화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기(Lee, Dong-Ki). (2020).“독일, 통일된 조국”. 독일연구, 44 , 171-213

MLA

이동기(Lee, Dong-Ki). "“독일, 통일된 조국”." 독일연구, 44.(2020): 171-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