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시대 고을 사직단의 경관 구성과 복원 방향

이용수 264

영문명
The Landscape Composition of ‘Local Sajikdan’ of Joseon Dynasty and the Present Reconstruction of Bupyeong Sajikdan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전종한(Jong Han Jeon)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32권 제2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직단은 토지 신인 ‘사(社)’와 곡식 신인 ‘직(稷)’을 위한 제단으로 조선왕조에는 국가 사직단 외에도 전국적으로 고을 사직단을 조영하였다. 사는 다스리는 영토와 관련되고 직은 백성의 삶과 관계된다는 점에서 사직은 곧국가 그 자체로 인식되었다. 고을 사직단은 조선 후기 전국의 읍치 경관을 구성해간 필수 경관 요소였다. 고을 사직단은 중앙부의 제단 외에도 유, 신실, 단수 등의 세부 경관 요소들이 집합적으로 창출하는 하나의 경관이었다. 고을사직단의 규모와 형식은 국가 사직단의 그것과 차별적으로 규정되었다. 오늘의 관점에서 고을 사직단은 전통 사상과 의례, 숨겨진 전략 등을 내포한 경관이자 역사의 질곡까지 이야기하는 심오한 기억의 장소로서 현재적 복원 가치를 지닌 헤리티지이다. 오늘날 고을 사직단을 복원함에 있어서는 단편적 경관 요소를 살피는 관점이 아닌 전체경관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개별 경관 요소의 의미를 넘어 그들 간의 연결과 조화가 만들어내는더 넓은 내러티브의 세계까지 복원 작업에 담아낼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영문 초록

The Sajikdan is an altar for the god[Sa] of the earth and the god[Jik] of grain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y created also local Sajikdan nationwide. In the Joseon Dynasty, ‘Sajik’ was soon recognized as the state itself in that ‘sa’ is related to the governing territory and ‘Jik’ is related to people’s lives. Each local Sajikdan was an essential landscape element that constituted the ‘Eupchi’ landscape. In addition to the altar, each local Sajikdan was a landscape composed by landscape elements such as ‘Yu’, ‘Shinsil’, and ‘Dansu’. The size and format of each local Sajikdan wa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the national Sajikdan. From today’s point of view, each local Sajikdan is a landscape that contains traditional thoughts, rituals, and hidden strategies, as well as a profound memory of historical stories, and is a heritage of reconstruction value. For our present reconstruction of local Sajikda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from the viewpoint of the entire landscape, not that of the fragmentary elements, so beyond the meaning of the individual landscape elements, to the world of the broader narrative created by the connection and harmony between them. We should try to put it in our reconstruction enterprise.

목차

1. 머리말
2. 조선 시대 국가 사직단의 설치와 경관 구성
3. 조선 시대 고을 사직단의 조영(造營)과 경관 구성
4. 조선 시대의 부평 사직단: 주요 경관요소와 복원 방향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종한(Jong Han Jeon). (2020).조선 시대 고을 사직단의 경관 구성과 복원 방향. 문화역사지리, 32 (2), 1-19

MLA

전종한(Jong Han Jeon). "조선 시대 고을 사직단의 경관 구성과 복원 방향." 문화역사지리, 32.2(2020):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