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외 한민족학교 교가의 음악 구성 요소 분석

이용수 31

영문명
A study on the Musical Elements Analysis of Chosun School’s School Song in Japan
발행기관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저자명
김수진(Kim, Sujin) 안병삼(An, Byungsam)
간행물 정보
『국제문화연구』Vol.13 No.1, 79~11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본 최초의 조선학교는 1945년 해방을 계기로 재일동포 자녀들에게 조선어를 가르치기 위한 ‘국어강습소’가 그 시작이다. 이 후 ‘국어강습소’는 수많은 조선학교로 개교하였고, 한 때 500여개 이상의 조선학교가 일본 각 지역에서 세워져 일본 한민족의 민족교육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60여개의 조선학교만이 일본에서 힘겹게 운영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일본 조선학교 교가를 대상으로 음악 구성 요소 등을 분석하여 그 속에 담겨있는 다양한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형식적인 면에 있어서 가요형식에는 세도막형식이 총 11곡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마디수는 24마디의 구조가 11개로 가장 많았다. 가사형식으로는 유절형식이 13개로 대부분 절이 있는 교가의 형식을 선호하였다. 빠르기말을 표기한 학교의 교가와 그렇지 않은 학교의 교가는 각각 7개씩으로 같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빠르기말을 사용한 학교들의 대부분은 행진곡풍으로, 자랑차게, 씩씩하게 등의 교가와 어울리는 부사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작사, 작곡가는 10개 교가에서 표기되어 있었고, 4개의 교가는 미표기로 되어있었다. 리듬과 가사의 조화는 불일치가 9개로 많았는데 그 이유로는 처음 시작부터, 또는 중간에 못갖춘마디로 바뀌면서 박자의 셈여림과 가사의 억양이 부조화를 이루면서 가사의 전달력을 약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음표와 음절 수가 일치하는 학교의 교가는 8개였는데 불일치하는 경우는 음표의 수보다 가사의 음절수가 더 많거나 적은 경우였다. 악보의 오류로는 잘못된 음표의 사용으로 박의 수가 맞아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고, 가사의 기보에서 11개 학교의 교가가 ‘-’표시를 사용하지 않아 음표와 음절수가 맞아떨어지지 않는 경우 가사를 붙일 때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그 밖에도 12개 학교의 교가에서 숨표를 따로 표기하지 않았고, 쉼표를 사용하기 보다는 음표로 마디의 박 수를 채워 답답한 느낌을 주는 형태의 교가도 12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국내외 연구자들의 관심에서 벗어나 있었던 해외 한민족학교 교가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그동안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던 한민족학교 교가의 음악 구성 요소 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민족학교 교가의 음악적 내용들을 파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As of 2019, more than 7.5 million Koreans have immigr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other countries. Among them, about 600 thousand Koreans live in Japan, while 14 Chosun Schools are open there for an ethnic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erms of forms, the ternary form is used most or in 11 school songs. In terms of the number of bars, 11 school songs use the structure of 24 bars. In terms of the verses, 13 school songs use the Strophenlied. The tempos are indicated in 7 school songs. The school songs indicated with a tempo sound like a march, using such adverbs matching the school songs as proudly, gallantly, etc. 10 school songs indicate composer and writer, while 4 school songs do not. 9 school songs show a discrepancy between rhythm and lyric; even from the beginning or in the middle, the bars are incomplete, causing the dynamics of beat and the intonation of the lyric to be incongruent, making the message of the lyric weak. The school songs with the notes matching the number of the syllables are 8. In case of other 6 songs, the number of the syllables of the lyrics is larger or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notes. The errors of the scores are diverse; the wrong notes are used to confuse the number of the beats; 11 school songs do not use the mark ‘-’; the lyrics are not clear in case the number of notes does not match that of the syllables. Besides, 12 school songs do not indicate the breathing marks separately, and the same number of the school songs fills the number of the beats with the notes to render a feeling of being trapped.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일본 조선학교 개관
3. 일본 조선학교 교가의 음악 구성 요소 분석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진(Kim, Sujin),안병삼(An, Byungsam). (2020).해외 한민족학교 교가의 음악 구성 요소 분석. 국제문화연구, 13 (1), 79-110

MLA

김수진(Kim, Sujin),안병삼(An, Byungsam). "해외 한민족학교 교가의 음악 구성 요소 분석." 국제문화연구, 13.1(2020): 79-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