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대화폐 첨수도에 나타난 ‘원시형태 한글’의 이해

이용수 62

영문명
Understanding of ‘primitive form of Hangul’ appearing in ancient currency Sharp knife(尖首刀) - Based on the theory of origin of Hunminjeongeum
발행기관
세계환단학회
저자명
이찬구(Lee, Chan Goo)
간행물 정보
『세계환단학회지』7권 1호, 110~166쪽, 전체 5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9,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15세기에 반포된 훈민정음(한글) 이전에 있었던 유사한 형태의 한글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를 제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훈민정음(한글)은 그 유래에서 옛 글자를 모방하였다(字倣古篆)고 밝힌 바 있다. 이는 훈민정음 이전부터 고유문자가 있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해주는 단서가 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필자는 춘추시기(서기전 770~476년 사이) 중에 통용된 것으로 알려진 고대 청동화폐인 첨수도(尖首刀)에 주목하였다. 첨수도 앞면마다 글자가 주조되어 있는데, 단자(單字)로 되어있기 때문에 고대 문자를 연구하는데 용이한 면이 있다. 이 첨수도에 새겨진 문자 가운데는 한자가 대부분이지만, 한글과 비슷한 글자모양을 필자가 처음 발견하였다. 한글과 유사한 ‘노 (no)’자 모양과 ‘돈 (don)’자 모양을 찾은 것이다. 필자는 현재의 한글과 구별하기 위해 잠정적으로 이를 ‘원시형태 한글’ 또는 ‘원시(原始) 한글’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그런데 돈자와 노자 첨수도의 다른 점을 한글로 설명하면 받침의 유무에 있다. 돈자 첨수도는 현재의 한글체계로 보아 초성(첫소리), 중성(가운데소리), 종성(끝소리)의 완전한 3소리글자의 합자(合字)원리가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원시한글이 사라졌다가 다시 훈민정음이 창제될 때까지 2000년 동안의 공백기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글과 그 모양에서 유사성이 많다. 이로보아 우리 한글의 뿌리는 15세기 훈민정음 이전으로 소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는 면에서 원시한글과 무관하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aise the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a similar form of Hangul, which existed before Hunminjeongeum (Hangul), which was published in the 15th century. The origin of Hunminjeongeum (Hangul) lies in the imitation of old letters(字倣古篆). This is a clue that supports the claim that there were proper characters even before Hunminjeongeum, but it has not been recognized yet. The author noted Sharp knife(尖首刀) of the ancient bronze coin, which was known to have been used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between A.D. 770 and 476). Each front of Sharp Knife(尖首刀) is casted with letters, which make it easier to study ancient characters because they are single characters(單字). Most of the characters inscribed on this Sharp Knife were Chinese characters, but for the first time, I discovered the shape of ‘노(no)’ and ‘돈(don)’ letters similar to Hangeul.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the current Hangul, I tentatively want to call it primitive Hangul or primitive form of Hangul . However, if you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and characters in Korean, it i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nsonant. It depends on whether or not a final consonant letter is present or not. Sharp Knife of characters can be interpreted by the current Korean system that the principle of the three complete syllables of consonants(first sound), medial(middle sound), and jongseong(final sound) is being applied. Until this primitive Hangeul disappeared and Hangeul was invented again, there was a hiatus for 2,000 years. Nevertheless,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Hangeul and its form.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not be said that the origin of Hangeul has nothing to do with the primitive form of Hangul in that it opens up the possibility that it can be retroactive to the past than Hunminjeongeum, which was created in the 15th century.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고대화폐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
Ⅲ. 첨수도의 유래와 문자들
Ⅳ. 첨수도에 새겨진 한자의 해석
Ⅴ. 첨수도에 새겨진 원시한글의 해독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찬구(Lee, Chan Goo). (2020).고대화폐 첨수도에 나타난 ‘원시형태 한글’의 이해. 세계환단학회지, 7 (1), 110-166

MLA

이찬구(Lee, Chan Goo). "고대화폐 첨수도에 나타난 ‘원시형태 한글’의 이해." 세계환단학회지, 7.1(2020): 110-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