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이행기 전주 읍치의 종교적 장소성 변화

이용수 241

영문명
The Change of the Religious Placeness of Jeonju Eupchi in the Early Modern Period - Focusing on the Dismantling of Town Castle and the Religious Landscape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저자명
최진성(Choi, Jin Seong)
간행물 정보
『기전문화연구』제41권 제1호, 25~4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전주 읍치를 사례로 전주읍성의 해체를 전후한 종교경관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조선시대는 통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읍치를 표준화하였다. 읍치의 표준화 조건은 첫째, 풍수지리 사상에 입각한 자연지리적 조건과 유교 이념에 근거한 인문적 조건이 필수적이었고, 그 중심지는 읍성이었다. 둘째, 전국 모든 읍치에 책임자인 수령이 파견되었다. 셋째, 주요 읍치에는 읍성을 쌓아 지역의 방어체제를 강화하였다. 이처럼 표준화된 읍치는 유교적 인간성의 완성을 목표로 하는 공간이었다. 전주 읍치의 경우, 읍성 남동쪽의 승암산 일대를 중심으로 후백제와 고려를 거쳐 조선 후기까지 불교와 유교 및 천주교 경관 등이 유지되면서 종교 성지로서의 장소성이 관성처럼 유지되었다. 그러나 근대이행기에 전주 읍성이 해체되면서 그 내부 공간이 식민지경관들로 채워지면서 탈장소화되었다. 이와 함께 종교경관의 중심축 또한 승암산 일대에서 읍성 서쪽의 다가산 일대 및 해체된 읍성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였다. 이와 관련된 주요 종교들은 개신교를 포함하여 일본신도, 일본불교, 일본기독교회 등이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Jeonju, Jeollabuk-do as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changing religious landscapes before and after the dissolution of town castle from a regional humanities perspective. The Joseon Dynasty standardized eupchi(邑治)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government. As for the standardization conditions of eupchi, first, natural geographic conditions based on FengShui and humanistic conditions based on Confucian ideology were essential, and the center was town castles. The leader, who is in charge, is dispatched to all towns nationwide. Third, the eupchi s defense system was strengthened by building town castles in major eupchi. There is a space aimed at the completion of Confucian human beings. In the case of Jeonju eupchi, Buddhism, Confucianism, and Catholicism were maintained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Post-Baekje and Goryeo, mainly around the area of Seungam Mountain(僧巖山)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own castle, and the place as a religious sanctuary remained like inertia. However, when the town castles was dismantled during the modern early period, Jeonju eupchi was de-placed by a modern urban space and filled with colonial landscapes. At the same time, the central axis of the religious landscape moved from the area around Seungam Mountain to the area of Daga Mountain(多佳山) close to the Japanese settlement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disintegrated town castles. The major religions involved were Protestantism, including Japanese Shintoism, Japanese Buddhism, and the Christian Church of Japan.

목차

1. 읍치경관과 읍치의 장소성
2. 읍치의 장소 이미지와 탈장소화
3. 전주부 읍치의 종교적 장소성과 장소 관성
4. 근대이행기 전주 읍성의 해체와 종교 장소성의 변화
5. 전주의 종교경관과 장소성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성(Choi, Jin Seong). (2020).근대이행기 전주 읍치의 종교적 장소성 변화. 기전문화연구, 41 (1), 25-43

MLA

최진성(Choi, Jin Seong). "근대이행기 전주 읍치의 종교적 장소성 변화." 기전문화연구, 41.1(2020): 25-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