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호연재 산수시의 군자 의식

이용수 145

영문명
Kimhyeonjae s poems about nature and Wise women consciousness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최선혜(Choi, Seon-hye)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40권, 173~19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김호연재(金浩然齎, 1681~1772)는 사대부 출신 여성 시인이다. 충청도 갈뫼(鼇頭)에 정착한 안동 김씨인 김성달(金成達)의 딸로 태어나 성장하여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후손 송요화(宋堯和)와 혼인하였다. 42세로 사망할 때까지 가문의 살림을 주관하면서 근 200편의 한시를 남겼다. 한시 원문은 실전되었으나 한글본으로 가문에서 대대로 전해지다가 증손부 청송 심씨(靑松沈氏, 1747~1814)가 직접 정서하여 깨끗이 보존될 수 있었다. 김호연재의 남편 송요화는 혼인한 지 얼마 안 되어 어머니 안정나씨를 모시고 지방관인 형 송요경의 임지를 따라 다녔기 때문에 부부가 함께 생활한 기간은 길지 않았다. 직계 어른의 통제 없이 송촌(宋村)에서 호연재는 젊은 나이에 가문의 살림을 꾸려나가면서 엄격한 규범의 화신이 되어야 했지만 역설적으로는 시를 지으며 군자 의식을 가다듬을 수 있는 특수한 환경이 만들어졌다. 호연재는 시숙부 송병익(宋秉翼)을 시어른으로 의지하면서 시당질 사흠(士欽), 진흠(晉欽), 명흠(明欽)등에게 글스승이 되었다. 혼인 직후 호연재 부부가 신혼을 보냈던 법천정사는 바로 송촌의 뒤켠에 있었다. 일상시가 곧 산수시가 될 수 있는 환경이다. 송촌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므로 호연재는 가고 싶을 때마다 가까운 비래암과 법천의 산수 속에서 휴식하며 문학적 영감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법도상 사대부가의 여성은 일가친척 외의 남성과 폭넓게 교유할 수 없었으며, 외부인과 주고받는 편지에도 한글을 사용해야 했다. 실제 호연재의 차운시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모두 일가친척 남성들이었다. 그 결과, 호연재는 그의 시문학 속에서 호탕하지만 유폐된 군자상을 조성하였다. 아이러니하게도 사회적 고립 속에서 호연재는 시에 복잡한 전고나 현학적 표현을 넣지 않고 내면의 솔직한 감상을 담을 수 있었다. 호연재는 고독에 시달리면서도 스스로를 규방에 갇힌 군자라 일컬으며 호탕한 성품으로 자찬하였다. 송촌 근처 법천과 비래암을 읊은 산수시 뿐만 아니라 화양구곡과 단양에 다녀간 작품에서 그의 내면을 읽을 수 있다. 송촌을 대대로 지켰던 여성 후손들은 호연재의 작품에 공감하였고, 증손부 청송 심씨는 원고를 정서하여 보존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Kimhoyeonjae(金浩然齋) was woman with novel poets. She was born in a Andong Kim family. After she grew up, she married Yohwa Song(宋堯和) from the Enjin Song family. Until her death 42, she worked as a housewife for Song family. Her portfolio contains almost 200 poems. Although her poet original disapeared, her descendants preserved her works. Her great-granddaughter-in law transferred her words directly onto clean papers. Through her mother-in law Cheongsong Simsi(靑松沈氏), Hoyeonjae s works passed down through the generations. She defined a confined wise woman by herself. This consciousness developed from living alone which was a special situation. Her husband presently accompanied his mother and brother Yogyeong Song(宋堯卿). His brother was government official appointed to the district office. Therefore the couple did not live together long. Instead of her husband, she relied on her uncle-in law Byeong-ik Song(宋秉翼). In addition, she became a teacher for her nephews-in law Sa-heum(思欽), Jin-heum(晉欽) and Myeong-heum(明欽). The Beopcheon(法泉) house was located at the back of Songchon(宋村), couple had a honeymoon in this house, and the couple created a literary environment there. Songchon was basin topography. Because of her mother-in law s absense, she had the authority to make a living. She created the consciousness of an exciting and concealed wise woman. The Joseon dynasty had a strict class system with high levels of gender discrimination. She beloned to the Sadaibu class, and identified as woman. For this reason, she was not allowed to meet external peers. Before her marriage, she wrote poems in hometown of Odu(鼇頭). After the wedding, she devoted her energy to creating poetry and scripture alone. It was Paradoxical. As a poet, she enjoyed herself by writing. she didn t care about the surroundings. Customarily, novel woman could not communicate with exterior man. If she need to write letters, she should write down by korean. All characters in her poems were relatives man. This social environment was better than other novel woman poets. She was respected and had dignity in Songchon community. But her identity was devided by lonliness. By reading through her poems , , , muliple characters of Gunja(君子) were virtuous queen, drunken lunatic, hidden talent. Whenever they want, her relatives man could write a letter to male solidarity and get academic achievement. Hoyeonjae suffered from solitude. However, she was self-proclaimed by a concealed wise person who lived casually. She wrote many poems about nature. Reading the poems, reader can understand feminine meanings that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unknown male scholars.

목차

1. 서론
2. 호연재의 산수 유람과 시의 특질
3. 송촌의 산수시와 호연재의 군자 의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선혜(Choi, Seon-hye). (2020).김호연재 산수시의 군자 의식.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0 , 173-199

MLA

최선혜(Choi, Seon-hye). "김호연재 산수시의 군자 의식."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0.(2020): 173-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